베트남은 거의 40년 가까이 전쟁을 치른 나라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5년 9월 독립선언을 계기로 10여년간 프랑스를 상대로 전쟁을 치러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프랑스를 물리쳤다. 그러나 제네바협정에 따라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남북이 갈라졌고 1965년 미국이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면서 1975년까지 10년 동안 베트남전을 치른 후 마침내 통일을 이룬다. 1978년에는 캄보디아를 침공해 폴포트 정권을 붕괴시켰고, 국경분쟁으로 거대한 중국과 전쟁을 하기도 했다.
우리는 60년이 흘렀음에도 3년의 전쟁이 남긴 상처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데, 베트남은 강산이 네 번이나 변하도록 전쟁을 했으니 국민들이 겪은 정신적·물질적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다. 전쟁이 종식된 지 30년이 지났고 한창 뻗어나는 젊은 세대들은 전쟁에 대한 기억이 별로 없지만 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은 가정이나 집안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1972년 12월에는 B52 폭격기가 보름 동안 밤낮으로 하노이를 폭격했다. 그 속에서 살아야 했던 사람들의 공포가 어떠했을까. 말할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전쟁에 희생되어 거의 모든 국민들이 부모 또는 친척이나 가까운 친구를 전쟁에서 잃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아직도 전쟁의 그림자는 모든 사람들의 가슴속에 깊게 드리워져 있다.
베트남에 오면서 궁금했던 것 중의 하나가 이 사람들은 과거 비참하고 힘들었던 전쟁의 역사에 대해서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을까 하는 점이었다. 그런데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베트남 사람들은 전쟁 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지난 수 십년 동안 전쟁이 그들의 삶이었기에 무슨 대화를 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전쟁이 화제에 오르리라고 생각했는데 신기하게도 그렇지 않다. 한국도 베트남전쟁의 가해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얘기하는 사람도 보지 못했다. 정부 관리들도 과거를 얘기하거나 베트남 전쟁에 대해 사과한다고 얘기하면 일관되게 그건 지나간 일이고 지난 일은 더 이상 논하지 말자, 앞으로 잘하자는 얘기만 한다.
더구나 베트남은 전쟁 피해에 대해서 배상을 요구하지도 않았고 누구에게도 사과를 요구한 적도 없다.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 등이 일본과 아직도 큰 외교 현안이 되고 있는 우리와 대비가 된다. 우리보다 엄청나게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과거에 대해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는 꼿꼿함을 무엇으로 설명해야 할까. 국가 통치의 핵심에 있는 공산당 정부 때문인가 싶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베트남의 국민성이라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다.
재미있는 일화 하나. 베트남전 당시 미국에도 반전운동이 심했고 영화배우 제인 폰다, 가수 조앤 바에즈와 같은 반전운동가들은 전시에 하노이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런데 얼마 전 하노이 유명호텔을 리노베이션하다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지하 방공호를 발견했는데 그 방공호에서 그들이 남긴 메모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수년 전에는 전쟁 중에 희생된 젊은 베트남 여인의 일기가 알려져 많은 사람의 심금을 울리기도 했다.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 전쟁에 대한 원망, 비참한 조국의 운명에 대한 안타까움을 담은 이 일기는 한 미국인이 간직해 오다가 수년 전 책으로 출판되었다. 전쟁의 상흔은 이렇게 아직도 여기저기 남아 있다. 베트남 사람들의 마음속에도 남아 있다. 그러나 베트남 사람들은 그걸 드러내지 않는다.
배종하 국제식량농업기구 베트남국가사무소장
베트남에 오면서 궁금했던 것 중의 하나가 이 사람들은 과거 비참하고 힘들었던 전쟁의 역사에 대해서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을까 하는 점이었다. 그런데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베트남 사람들은 전쟁 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지난 수 십년 동안 전쟁이 그들의 삶이었기에 무슨 대화를 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전쟁이 화제에 오르리라고 생각했는데 신기하게도 그렇지 않다. 한국도 베트남전쟁의 가해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얘기하는 사람도 보지 못했다. 정부 관리들도 과거를 얘기하거나 베트남 전쟁에 대해 사과한다고 얘기하면 일관되게 그건 지나간 일이고 지난 일은 더 이상 논하지 말자, 앞으로 잘하자는 얘기만 한다.
더구나 베트남은 전쟁 피해에 대해서 배상을 요구하지도 않았고 누구에게도 사과를 요구한 적도 없다.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 등이 일본과 아직도 큰 외교 현안이 되고 있는 우리와 대비가 된다. 우리보다 엄청나게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과거에 대해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않는 꼿꼿함을 무엇으로 설명해야 할까. 국가 통치의 핵심에 있는 공산당 정부 때문인가 싶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베트남의 국민성이라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다.
재미있는 일화 하나. 베트남전 당시 미국에도 반전운동이 심했고 영화배우 제인 폰다, 가수 조앤 바에즈와 같은 반전운동가들은 전시에 하노이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런데 얼마 전 하노이 유명호텔을 리노베이션하다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지하 방공호를 발견했는데 그 방공호에서 그들이 남긴 메모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수년 전에는 전쟁 중에 희생된 젊은 베트남 여인의 일기가 알려져 많은 사람의 심금을 울리기도 했다. 사랑하는 연인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 전쟁에 대한 원망, 비참한 조국의 운명에 대한 안타까움을 담은 이 일기는 한 미국인이 간직해 오다가 수년 전 책으로 출판되었다. 전쟁의 상흔은 이렇게 아직도 여기저기 남아 있다. 베트남 사람들의 마음속에도 남아 있다. 그러나 베트남 사람들은 그걸 드러내지 않는다.
2013-08-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