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팀장
‘보이콧’은 영국 육군 대위였던 찰스 보이콧(1832∼1897)의 성에서 비롯됐다. 보이콧은 상관의 명령에 충실한 군인이었다. 그는 제대 뒤 아일랜드 동북부 지역의 한 경작지 관리인이 된다. 1870년대 아일랜드가 가난과 굶주림에 시달리던 시절이었다. 농민들은 비싼 소작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은 보이콧에게 소작료를 내려 달라고 요구했다. 보이콧은 그럴 수 없었다. 농민들은 저항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보이콧의 집에서 일하던 사람들은 철수했고, 우편물도 주지 않았다. 추수도 못 하게 되자 다른 지역의 일꾼들을 데려올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보이콧도 마을에서 떠나야 했다. 이 사건 이후 ‘보이콧’은 일반 명사로 널리 퍼지게 된다.
이 사건을 배경으로 생겨난 ‘보이콧’에는 ‘공동’, ‘조직’, ‘정당성’ 같은 의미도 배어 있다. 이런 가치를 확보했거나 확보하고 싶은 이들은 ‘거부’가 아니라 ‘보이콧’을 쓰려고 한다. ‘제재’의 뜻으로 쓰일 때도 마찬가지다.
2017-11-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