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보이콧/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보이콧/이경우 어문팀장

입력 2017-11-01 21:48
수정 2017-11-30 15: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보이콧’은 ‘거부’라는 의미로 흔히 사용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어떤 일을 공동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는 일’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이왕이면 ‘거부’, ‘거절’, ‘배척’ 같은 말들로 바꿔 쓸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이 단어들이 ‘보이콧’을 대신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듯하다. 1920년대 신문에서 보이기 시작해 100년 가까이 지나면서 쓰임새는 더 많아져 간다.

‘보이콧’은 영국 육군 대위였던 찰스 보이콧(1832∼1897)의 성에서 비롯됐다. 보이콧은 상관의 명령에 충실한 군인이었다. 그는 제대 뒤 아일랜드 동북부 지역의 한 경작지 관리인이 된다. 1870년대 아일랜드가 가난과 굶주림에 시달리던 시절이었다. 농민들은 비싼 소작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은 보이콧에게 소작료를 내려 달라고 요구했다. 보이콧은 그럴 수 없었다. 농민들은 저항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보이콧의 집에서 일하던 사람들은 철수했고, 우편물도 주지 않았다. 추수도 못 하게 되자 다른 지역의 일꾼들을 데려올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보이콧도 마을에서 떠나야 했다. 이 사건 이후 ‘보이콧’은 일반 명사로 널리 퍼지게 된다.

이 사건을 배경으로 생겨난 ‘보이콧’에는 ‘공동’, ‘조직’, ‘정당성’ 같은 의미도 배어 있다. 이런 가치를 확보했거나 확보하고 싶은 이들은 ‘거부’가 아니라 ‘보이콧’을 쓰려고 한다. ‘제재’의 뜻으로 쓰일 때도 마찬가지다.
2017-11-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