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의존도 낮춰 ‘차이나 리스크’ 대비를

[사설] 중국 의존도 낮춰 ‘차이나 리스크’ 대비를

입력 2017-11-01 21:48
수정 2017-11-01 2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과 중국 정부가 교류협력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수출과 관광업 등에서 금한령(禁韓令)이 풀린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이른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직격탄’을 맞았던 자동차·화장품·유통·관광·면세점·항공업계는 중국의 귀환을 손꼽아 기다리는 분위기다.

그동안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산업계는 한?중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자동차 부품은 전년 동기보다 중국 수출량이 54.7% 감소하며 큰 피해를 보았고, 휴대전화(부품)는 32.7%, 디스플레이는 24.7%나 줄었다. 우리나라 수출의 중국 의존도는 지난해 기준으로 25.1%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지 않으면 앞으로 중국의 경제보복이 재발할 경우 똑같은 피해를 보게 될 것이다.

올해 1~9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319만여명으로 지난해보다 39% 줄었다. 중국 정부가 한국 단체관광을 전면 금지한 3월부터 따지면 전년보다 61%나 뚝 떨어졌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공식 지정한 중국 단체관광객 유치 전담사 161곳 가운데 50% 이상이 개점휴업 상태다. 국내 항공사의 중국 노선 비중은 최고 20%였던 것이 4월 이후 점차 감소해 10% 안팎으로 줄었다.

우리와 비슷하게 중국과 분쟁을 일으켜 경제보복을 당한 대만, 필리핀, 노르웨이 등은 시장 다변화를 통해 수출 위기를 극복했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중국의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를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하자 90%에 이르던 노르웨이 연어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30%로 떨어졌다. 이에 노르웨이는 유럽연합과 아시아 국가 등으로 시장을 개척했고 그 결과 연어 수출액은 보복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도 중국의 변덕과 횡포에 번번이 당하면서도 언제까지 그들만 쳐다볼 수 없다. 이미 중국은 한국으로부터의 중간재 수입을 줄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중 무역수지 흑자는 2013년 628억 달러에서 지난해에는 375억 달러로 40%나 급감했다. 이미 수출시장에서 중국만 바라보고 사는 시대는 지났다는 말이다. 관광도 다변화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와 대만 등 중화권 관광객을 집중적으로 유치해야 한다. 지난 1년여간의 사드 사태에서 우리는 잃은 것이 많지만 얻은 것도 있다.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교훈이다. ‘차이나 리스크’에서 탈피하는 작업이 시급하다.
2017-11-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