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삶의 터전 삶의 노래/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문화마당] 삶의 터전 삶의 노래/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입력 2018-08-29 22:28
수정 2018-08-30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른 풀과 장작 냄새가 은은하게 퍼져 있다. 말똥 냄새가 코끝에 스친다. 기백년 됐을 법한 통나무로 지어진 마구간이 공연장으로 쓰이고 있는 사례는 유럽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천장이 높고 공간이 널찍해 간단한 무대 설치와 객석의자를 배치하면 멋들어진 공연장이 완성된다. 특히 알프스 산골 깊은 곳에서 열리는 페스티벌에서는 그 운치가 더해진다. 늘 그러하듯 후각은 금세 적응되어 진정되고, 나무기둥과 들보로 받친 높은 천장의 나무 사이로 드리우는 햇빛이 자연조명을 밝히고 음악이 그 공간을 채운다. 시각과 청각이 즐거워지는 시간이다.
이미지 확대
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이따금 밖에서 새들이 함께 노래하고, 소의 목에 걸려 있는 벨들이 장단을 맞춘다. 첨단 공법으로 지어져 완벽한 잔향을 갖춘 새로 지어진 공연장만큼 완벽하고 화려할까마는 자연과 하나 되는 맛을 느끼기에 더없이 좋은 공연 장소이다. 호텔의 고급 와인바에서 나비넥타이를 매고 우아하게 와인을 마실 수 있겠지만, 슈베르트가 그러했듯 칼렌베르크의 호이리게 선술집 마당에서 빈의 바람 내음과 어우러진 와인을 마시는 맛은 그 어느 와인바하고도 비교할 수가 없다.

억압에 의해 종교적인 서사만을 표현했던 중세시대를 제외하면 모든 예술의 가장 사랑받는 첫 번째 소재는 두말할 필요 없이 사랑이고, 두 번째는 바로 자연이다. 자연은 사랑과 마찬가지로 한없이 아름답고 고귀하면서도 인간의 나약함을 일깨워 주고 겸손하게 만든다. 슈베르트를 포함한 베토벤, 드뷔시, 슈트라우스, 말러 등 시대를 초월해 기억되는 모든 작곡가들은 자연에 무척이나 관심을 가지며 그를 흠모했고 곡으로 표현했다. 그런 곡들을 실제로 자연 속에서 연주하는 느낌은 사랑하는 사람의 눈을 보며 사랑 노래를 부르는 느낌과 같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연주자의 품에 안겨 있는 악기도 그 마구간을 채웠던 존재들과 고향과 조상이 같은 한가족이다. 악기 제작자의 장인정신에 의해 그 통나무들은 매혹적인 곡선을 가진 악기로, 말꼬리의 털은 소나무 수액이 발려 활털로 재탄생된다. 그래서 그렇게 마구간과 클래식음악이라는 다른 삶, 다른 감성에서 탄생된 존재들이 놀랍게도 하나로 조화를 이루게 되나 보다.

마구간 공연은 도시를 벗어난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이고, 유럽의 도시에서는 전용 공연홀을 제외하고도 많은 음악회가 교회나 성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교회는 역사적으로 한 도시에서 지어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건축물이었을 테고 몇백 년에 걸쳐 신을 찬양한 장소이므로 음악회가 이루어지기 매우 합당한 장소이고, 성에서는 귀족들의 방에서 자장가가 연주됐거나 연회 장소에서 왈츠 같은 음악이 연주됐을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그리고 문화유적지 같은 역사적인 장소에서 좋은 공연이 많이 펼쳐지고 있다. 동서양의 건축문화가 애초에 달라 유럽형 교회나 성 같은 천장이 높은 건축물이 없기에 좋은 음향을 갖춘 공연장들이 더더욱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마구간이 자연친화적이고 교회가 성스럽고 성이 고풍스러워서 그 음악회들이 더 가치 있는 게 아니다. 그 장소들이 그들의 일상에 깊숙이 관여된 삶의 터전이었기에 그 음악들이 더 자연스럽게 와닿는 것이다. 성경에 보면 마구간에서 태어난 이가 성전의 휘장을 찢어 성소의 개념을 허물고 신을 내 몸 안에 모실 수 있도록 한다. 음악도 마찬가지이다. 특정한 장소에서 특정한 음악을 하는 게 아니라 삶의 터전에서 삶의 노래를 항상 부를 뿐이다.
2018-08-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