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원주로 고속도로를 달린다. 문막의 막국수집은 새 건물을 지어 옮겼으니 시간이 적지 않게 흘렀음을 알겠다. 수수했던 막국수맛이 깔끔한 집으로 옮기면서 도시스러워진 것은 흥미로웠다. 옛 맛을 떠올리며 흠을 잡으려 했지만 맛이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
목적지는 지광국사 현묘탑을 제자리로 옮겼다는 법천사 터다. 하지만 현묘탑이 들어선 유적전시관은 아직 문을 열지 않았다. 언덕 위의 현묘탑비만 돌아보고 발걸음을 돌리는데 잘 정비된 폐사지 모습에 마음이 흐뭇하다.
5분쯤 더 달리면 손곡리다. 조선시대 대시인 손곡 이달이 살던 동네다. 그의 시는 교과서에도 등장한다. 한때는 관광자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 시비를 세우고 공원도 조성했다. 하지만 이제 손곡저수지 둑방의 공원엔 누구를 기리는지 알리는 안내판조차 없다.
지역에선 법천사, 거돈사, 흥법사 같은 고려시대 절터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 오고 있다. 하지만 큰돈을 들여 꾸미는 폐사지의 모습이 다른 문화의 흔적을 포기하는 대가라면 더이상 아름답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2025-06-06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