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왕후·현종 어보 직접 반환 받은 김연수 국립고궁박물관장
“우연치 않게 연이어 어보와 인연을 맺고 좋은 성과를 거두니 ‘내가 전생에 종묘지기였나, 궁궐 무수리였나’ 하곤 했죠(웃음). 조선의 왕들은 어떤 전란에도 종묘에 봉안된 어보를 지키려 의주까지 지고 나르며 갖은 애를 썼어요. 선조들의 노력을 생각하면 또 다른 어보의 행방을 추적해 한자리에 모아 지키는 게 우리의 임무가 아닌가 싶습니다.”지난 10일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된 덕종 어보 앞에서 김연수 관장은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조·대한제국이라는 한정된 시대, 왕과 왕비의 유물을 다루기 때문에 인물과 스토리가 있어 생동감 있는 관람을 경험할 수 있다”고 했다.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조선 문정왕후 어보(1547년 제작)
연합뉴스
연합뉴스
조선 현종 어보(1651년 제작)
연합뉴스
연합뉴스
“어보의 실물을 처음 대면하는 순간 헤아릴 수 없는 감동과 후련함을 느꼈습니다. 지난 4년간 어보가 언제 들어오느냐는 국회와 시민단체의 질문조차 큰 압박으로 다가왔거든요. 하지만 빨리 들여오는 것도 중요하지만 불법 유출된 문화재가 정당한 절차를 거쳐 우리나라 소유라는 걸 국내외에 알리는 게 앞으로의 문화재 환수 과정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김 관장에 따르면 이번 문정왕후·현종 어보 환수는 미국 측이 한·미 수사 공조 과정에서 ‘한 국가의 정체성을 담은 부당한 도난품이기 때문에 당연히 한국에 돌려줘야 한다’고 천명해 줘 선례로 남았다. 미국은 세계 최초로 전시 문화재 보호법규(리버 코드)를 1863년 마련하고 도난 문화재는 선의취득을 인정하지 않는 등 불법 유출된 문화재를 원래 국가에 돌려주는 법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이에 반해 일본, 프랑스 등 다른 국가들은 문화재 반환에 어려움이 여전하다.
김 관장은 오는 8월 19일부터 10월 29일까지 ‘다시 찾은 조선 왕실의 어보’ 특별전을 열어 이번에 환수된 문정왕후·현종 어보를 일반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2014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가져온 대한제국 국새 등 인장 9점과 덕종 어보도 함께 선보인다.
“문정왕후·현종 어보는 오랜만에 돌아온 유물이라 빠른 시일 내 보여드리려 현재 보존 처리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번 전시는 고유제(국가와 사회, 가정에 큰일이 있을 때 신령에게 그 사유를 고하는 제사)의 의미가 있어요. 문정왕후 어보는 종묘에 석 점이 봉안됐는데 한 점이 유출됐다 이번에 돌아온 것으로, 이번 전시에서는 석 점이 다시 만나게 됐습니다. 현종 어보는 넉 점이 만들어졌는데 다 사라지고 이번에 돌아온 것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라 의미가 남다르죠.”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 중인 5만여점의 왕실 유물 가운데 지금까지 일반에 공개된 것은 5분의1도 채 안 된다. 김 관장은 “대부분 왕실 의례·생활 용품으로 쓰이며 보관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이라며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유물 감상, 교육 기회를 넓혀 주기 위해 이르면 내년쯤 박물관 내부에 개방형 수장고(면적 265㎡)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7-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