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재정의 독사만평] 푸틴 대통령의 역사인식과 영토전쟁/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정재정의 독사만평] 푸틴 대통령의 역사인식과 영토전쟁/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입력 2022-06-30 00:54
업데이트 2022-06-30 0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토 수복’ 옛 영광 꿈꾸는 푸틴
근간에는 대러시아주의 똬리
유라시아 끄트머리 있는 한국
평화놀음 벗어나 안보 정비해야

이미지 확대
정재정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정재정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러시아가 2014년 3월 크림반도를 병탄하고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전면으로 확대된 영토전쟁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사회는 국토와 국경의 신성불가침성을 인정하고, 폭력을 통한 현상 변경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70년 동안 불문율로 여겨 온 ‘영토 확대 전쟁 불가’라는 국제 규범이 무참히 짓밟히는 엄중한 상황을 목도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진원지였던 유럽은 영토전쟁에 대한 반대 정서가 특히 강하다. 우리는 그런 유럽에서 핵무기를 가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하는 상황을 지켜보며 불안을 감출 수 없다. 먼저 소련이 저지른 6·25 전쟁의 원죄(原罪)가 떠오른다. 그리고 침략 국가로 지탄받는 러시아가 한반도와 국경을 접하고, 북한과 중국이 러시아를 응원하는 불편한 현실을 새삼 확인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6월 9일 모스크바에서 ‘표트르 1세 탄신 350주년 기념전시’를 관람했다. 그는 표트르 1세가 전쟁을 통해 스웨덴으로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되찾은’ 위업을 칭송하며 이렇게 말했다. “러시아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천도했을 때, 유럽 어느 나라도 이곳을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지 않았다. 모두가 그곳을 스웨덴의 일부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슬라브인은 옛날부터 그곳에서 살았다. 우리는 다시 찾고 강해지고 앞으로 나아갈 책임이 있다.”

표트르 1세는 1682년부터 1725년까지 차르로서 러시아를 통치했다. 그는 1721년 원로원에서 러시아 전역을 다스리는 황제로 추대됐다. 그가 러시아제국 황제를 겸한 데는 같은 해 상트페테르부르크 ‘탈환’이 큰 힘을 발휘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일부 점령을 서방 국가가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고깝게 여긴다. 그렇지만 300년 전에 그랬듯이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이 러시아 땅임을 서방이 인정할 날이 오리라고 믿는다. 이번 영토 확장을 업적으로 내세워 자신의 권력을 차르나 황제처럼 강화하겠다는 속내까지 내비쳤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독립국으로 보지 않는다. 옛날부터 러시아의 역사·영토였다고 확신한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침략은 ‘역사·영토 수복’ 사명을 완수하는 애국 행위다. 푸틴 대통령의 역사관·영토관에는 러시아 특유의 인종적·지리적 민족주의가 자리잡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몽골의 지배 이후 유라시아주의라는 사조가 생겨났다. 유라시아를 중심으로 삼는 대러시아주의·범슬라브주의 사상이다. 대러시아주의가 옛 러시아제국의 권역 회복에 역점을 둔다면, 범슬라브주의는 슬라브족의 우위 확보에 중점을 둔다. 이들을 융합한 유라시아주의는 유라시아대륙을 러시아 지배 아래 단일 권역으로 묶는 지역주의 성격을 띠고 있다.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가 맹목적으로 서구 문명을 따르지 말고, 과거 몽골제국이 그랬듯이 유라시아대륙의 맹주가 돼 독자 노선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라시아주의는 20세기 들어 러시아 정교회의 전체주의와 결합해 신유라시아주의로 거듭났다. 신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제국과 소비에트연방공화국의 영토를 회복하려는 지향이 강하다. 자연히 패권적·팽창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 민족주의자이자 보수주의자인 푸틴 대통령은 신유라시아주의를 열렬히 지지한다. 그는 ‘역사·영토 수복’의 한 단계로 우크라이나 침략을 감행했다.

한국은 유라시아대륙 끄트머리에서 러시아·중국·북한과 안보상 대척점에 놓여 있다. 이들은 한국에 대해 서로 비슷한 역사관·영토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러·우크라 전쟁은 우리에게 결코 강 건너 불이 아니다. 몇 년 동안 평화놀음에 취해 흐트러졌던 안보 태세를 근본적으로 정비·강화할 때가 도래했음을 진하게 느낀다.
2022-06-30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