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檢, 서민다중 피해 ‘전세 사기’ 법정 최고형 15년까지 죗값 묻는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5 19:06 사회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지난해 7월 ‘세 모녀 전세사기’ 사건 계기
조직적·계획적 전세 사기 엄정 대응 방침
‘110명·123명 피해’ 검찰 구형대로 선고
4년간 52회 공판, 2만2000쪽 기록 검토

전세사기 관련 최근 기소 사례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전세사기 관련 최근 기소 사례

검찰과 법원이 다수 서민에게 연쇄 피해를 주는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전세 사기 범죄에 대해 법정 최고형 구형과 선고로 엄정 대응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법 성남지원 형사5단독(부장 남인수)은 경기 광주시에 있는 빌라 입주 희망자 총 110명을 상대로 이중계약 사실을 숨기는 등 거짓말로 약 123억원을 가로챈 부동산 임대회사 대표 권모(42)씨에 대해 사기 등의 혐의로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검찰이 일반 사기사건에서 법정 최고형을 구형하고 법원도 같은 선고를 내리는 사례는 이례적이다.

검찰이 약 4년간 총 52회에 걸쳐 진행된 공판을 통해 공소사실을 입증했던 게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검찰 수사 결과 피해 회복이 되지 않아 전세자금 대출 연체로 파산 신청을 하거나, 남편이 쓰러져 대장암 4기 판정을 받고, 딸이 스트레스성 위암으로 사망한 피해자도 있었다.

검찰은 이런 피해 내용 등을 조사한 2만 2000쪽 분량의 기록을 검토해 작성한 보고서와 각종 의견서를 제출했다.
전세사기 피해 근절 종합대책 발표하러 가는 추경호 부총리와 관계부처 장관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이 전세사기 대책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기 위해 2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로 이동하고 있다. 2023.2.2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전세사기 피해 근절 종합대책 발표하러 가는 추경호 부총리와 관계부처 장관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이 전세사기 대책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기 위해 2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로 이동하고 있다. 2023.2.2
연합뉴스

이번 사건은 피해액 합계가 123억원에 달하지만, 피해자별로만 사기죄가 성립돼 단일죄 이득액이 5억원 이상 때 적용되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죄를 적용할 수 없었다. 사기죄 법정형은 징역 10년 이하다.

하지만 여러 사기죄를 범한 경우 최대 50%까지 가중할 수 있어 검찰은 법정 최고형인 징역 15년을 구형했다.
전세사기 대응 협의회에서 발언하는 황병주 대검 형사부장 황병주 대검찰청 형사부장이 18일 대검찰청에서 열린 검찰·경찰·국토부 ‘전세사기 대응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1.18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전세사기 대응 협의회에서 발언하는 황병주 대검 형사부장
황병주 대검찰청 형사부장이 18일 대검찰청에서 열린 검찰·경찰·국토부 ‘전세사기 대응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1.18
연합뉴스

앞서 대검찰청은 지난해 7월 이른바 ‘세 모녀 전세 사기 사건’을 계기로 서민·청년 상대 전세 사기에 대한 원칙적 구속수사와 구체적 양형 사유 수집 등 엄정 대응을 전국 검찰청에 지시한 바 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지난 2일 “대규모 조직적 전세 사기는 검찰이 직접 수사해 나갈 것”이라며 강경 기조를 재확인했다. 검찰 관계자도 “죄에 상응하는 처벌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항소한다는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혁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