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정찰풍선을 처음 포착한 건 지난달 28일이다. 중국은 지난 3일 미 정부의 발표가 있고서야 풍선의 존재를 시인했지만 정찰 목적에 대해선 근거 없는 억측과 허위 선전이라고 반발했다. 풍선이 몬태나주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운용하는 공군부대 인근에서 포착된 데다 풍선에 매달린 장비들이 기상 연구용이 아닌 것으로 미 국방부가 파악한 점 등을 감안하면 중국의 주장은 곧이곧대로 믿기 어렵다. 미국이 정찰풍선의 잔해를 수거해 분석하면 사실 여부가 곧 밝혀질 것이다.
이번 사태는 지난 수년간 경제적·군사적 갈등을 겪은 두 나라가 지난해 11월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와중에 불거진 악재가 아닐 수 없다. 사태 향배에 따라서는 세계 정세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만에 하나 양국의 긴장이 무력 충돌로 악화된다면 가뜩이나 침체돼 있는 글로벌 경제는 또 한번 나락으로 떨어질 공산이 크다. 대화를 통한 해결책, 특히 정찰풍선에 대해 보다 납득할 만한 설명과 재발방지책을 내놓는 등 사태 악화를 막을 중국의 신중한 대응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