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코넛 국가는 게으르지 않습니다” 신랄하고 명쾌하게 경제현안 짚다

“코코넛 국가는 게으르지 않습니다” 신랄하고 명쾌하게 경제현안 짚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3-28 00:12
업데이트 2023-03-2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 만의 신간 ‘경제학 레시피’ 펴낸 장하준 英런던대 교수

18가지 음식·재료로 경제 해설
“돈 준다고 해도 저출산 안 풀려
한국, 1970년대로 회귀 꿈꾸나”

“노동 시간을 늘리거나 임금을 낮춰 다른 나라와 경쟁하겠다는 건 시대착오적인 발상입니다.” 장하준 영국 런던대 경제학과 교수가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주 69시간 근무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정부는 부랴부랴 주 60시간으로 낮췄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장하준 영국 런던대 교수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정부의 주 69시간 근로제와 출산 정책 등을 비판하고 있다. 책은 열여덟 가지 음식과 재료 등을 통해 여러 경제 문제를 풀어낸다. 연합뉴스
장하준 영국 런던대 교수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정부의 주 69시간 근로제와 출산 정책 등을 비판하고 있다. 책은 열여덟 가지 음식과 재료 등을 통해 여러 경제 문제를 풀어낸다.
연합뉴스
장 교수가 10년 만에 출간한 신간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부키)는 본인 스스로 일컫듯 ‘괴상한’ 책이다. 머리말 ‘마늘’부터 마지막 17장 ‘초콜릿’까지 열여덟 가지 음식과 재료로 각종 경제 문제를 짚는다. 음식에 관한 과학적 사실이나 역사적 사실을 풀어놓거나 때론 개인적 경험도 생생하게 녹였다.

예컨대 최근 한국에서 불거진 주 69시간 노동과 관련해서는 코코넛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서양 제국주의 국가 영국이나 프랑스가 ‘더운 나라 사람들은 자연 자원이 많아 게으르고 그래서 가난하다, 심지어 코코넛 나무 밑에 코코넛이 떨어지길 기다리길 원한다’고 비난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등 가난하고 더운 나라에 사는 사람들은 독일인, 덴마크인, 프랑스인보다 60~80%, 미국인이나 일본인보다 25~40% 정도 근로 시간이 더 길다.
이미지 확대
장 교수는 노동 시간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생산성’을 꼽았다. 그러면서 윤 정부를 향해 “기술 개발, 교육, 연구 투자, 창의력 발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는 노동 시간을 어떻게 늘릴까보다 이런 걸 더 고민해야 할 단계”라고 꼬집었다.
이미지 확대
북유럽의 대표적 곡물로 꼽히는 호밀을 통해서는 복지국가에 대한 오해를 풀어낸다. 복지국가가 ‘진보’ 정치 세력의 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복지국가를 처음으로 발명한 사람은 극보수의 대명사로 꼽히는 비스마르크였다. 책은 비스마르크가 호밀 생산자들과 철 생산자들 사이에 연합을 결성한 사실을 따라가며 복지의 다른 면을 설명한다.
이미지 확대
또 쓰촨요리 전문점에서 쓰는 고추 척도를 가지고 ‘무보수 돌봄 노동’을 풀어내기도 한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경제 지표인 국내총생산(GDP)은 시장에서 교환되는 것만 포함하는 극도의 자본주의적 관점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삼는다.
이미지 확대
가정과 공동체에서 임금을 받지 않고 행해지는 돌봄 노동은 GDP에 포함되지 않는데, 이를 무시하면서 ‘아이를 많이 낳아야 한다’며 각종 출산 정책을 쏟아 내 봤자 잘 통하지 않을 거라고도 지적했다.

“출산율을 높이려면 기업이 성차별을 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출산으로 여성의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와 함께 근무 시간을 줄여 아이 키울 시간을 확보해 줘야 한다. 그저 ‘아이 낳으면 돈을 주겠다’, ‘군 면제를 해 주겠다’는 식으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인 장 교수는 “지금 한국 정부가 펴는 경제 정책을 보면 ‘어떻게 하면 1970년대로 되돌려 볼까’ 고민하는 듯하다. 그런 사회는 오지도 않고 와서도 안 된다”고 비판했다.

김기중 기자
2023-03-28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