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지난 20일 중국 우한에서 중국 프로축구 우한 썬전(쓰리타운스)과 일본 프로축구 우라와 레즈의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본선 조별리그 경기가 열렸다. 중국 팬들은 관중석에서 중국어와 일본어로 ‘바다가 운다’라고 적힌 대형 현수막을 펼쳐 들고, 일본 선수들을 향해 욕설을 퍼붓기도 했다.
더우인(중국판 틱톡)에는 경기장 밖에서 한 중국인이 라이터로 일장기에 불을 붙여 던지자 주위의 중국인들이 응원하는 영상도 올라왔다.
중앙통신사는 중국인들의 이런 행동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항의의 표시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런 행위는 경기장 안팎에서 정치적 발언이나 행위를 금지한 국제축구연맹(FIFA)의 규정을 어긴 것일 수 있지만, 일본프로축구연맹과 우라와 레즈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오염수 해양 방류에 반대했던 중국은 일본이 지난달 실행에 옮기자 이를 강하게 비난하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마 부부장은 “IAEA는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과학적인 태도로 후쿠시마 핵 오염수 문제를 책임있게 처리해야 한다”며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정당하고 합리적인 우려에 실질적인 행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일본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이웃 국가들과 일본 국민의 반대 목소리를 무시하고 기어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해양 배출 계획을 추진했다”고 비난한 뒤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그로시 사무총장은 “중국의 입장과 우려를 고도로 중시한다”며 “IAEA는 오염수 처리에 중립적·객관적 입장을 견지할 것이고, 중국과 밀접한 소통과 협력을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답변했다.
중국은 일본 오염수를 ‘핵 오염수’라 칭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초하지 않은 배출이라며 날 선 비판을 이어오고 있다.
앞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 도중 오염수 방류 이후 주중 일본대사관에 40만통 넘는 항의 전화가 걸려 왔다는 일본 기자의 지적에 논점을 흐리지 말라고 맞받아쳤다. 마오 대변인은 “일본 주재 중국대사관과 영사관에 일본의 항의 전화가 쇄도해 정상적인 업무 진행을 심각하게 방해하고 있다”며 “사안의 초점을 돌리려 하지 말고 자신의 잘못된 행위를 감추려 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임병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