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삼성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 8.4%↓”…‘넛크래커’ 현상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11-21 13:13 기업·산업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삼성전자 스마트폰 Z폴드(왼쪽)·Z플립 시리즈. 삼성전자 제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삼성전자 스마트폰 Z폴드(왼쪽)·Z플립 시리즈.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3분기(7~9월)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8% 넘게 감소했다. 반면 애플과 샤오미의 출하량은 늘어나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이 20% 아래로 내려갔다. 애플에는 브랜드 경쟁에서, 중국 토종 업체들에는 가격 경쟁에서 밀리는 ‘넛크래커’(호두까기 도구) 현상이 생겨나는 모양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시장분석기관 IDC를 인용해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 규모가 595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8.5%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지난 8월 프리미엄 모델인 Z플립5·Z폴드5를 전 세계로 출시했지만 출하량 하락을 막지 못했다. 시장 점유율도 전년 동기 21.4%에서 이번 3분기 19.7%로 떨어졌다.

2위 애플은 같은 기간 출하 규모가 536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5% 늘었다. 시장 점유율도 17.2%에서 17.7%로 상승했다. 3위 샤오미도 출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난 4150만대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13.4%에서 13.7%로 늘었다.

한편 WSJ는 시장분석기관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를 인용해 “지난달(10월) 중국 시장에서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제품 출하는 늘어난 반면, 애플 아이폰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중국 내 스마트폰 출하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1% 늘며 오랜만에 기지개를 켰다. 화웨이는 90% 이상, 샤오미는 33% 증가했다.

화웨이는 2019년 미국 정부의 반도체 제재 이후 스마트폰 사업이 쪼그라들었지만, 최근 중국산 5세대(5G) 통신칩을 탑재한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의 성공으로 부활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애플은 판매량 성장세가 전년 동기 대비 한 자릿수로 줄어들었다. 중국 소비자들의 ‘애국소비’ 및 ‘가성비 소비’ 기조로 애플의 중국 시장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이를 반영하듯 정보제공업체 반다리서치에 따르면 개미 투자자들은 2021년 7월 이후 처음으로 지난주에 애플 주식을 순매도했다. 개미 투자자들은 14∼17일 연속으로 애플 주식을 6500만 달러(약 836억원) 가까이 팔았다. 이 기간 주가는 2.6% 올랐다.

류지영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