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새달 340억 사업자 선정
호남·제주, 기업과 연중 생산 추진
해수부는 다음달 사업자를 선정해 5년간 김 종자 생산에 120억원, 양식 설비 및 품질 관리에 230억원을 투입한다고 27일 밝혔다.
김은 지난해 약 1조 4300억원을 수출했으나 해수 온도 상승과 미세플라스틱 문제로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 이에 식품업체들이 지자체와 협력해 육상 양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달 전남도, 해남군과 협약을 체결하고 ‘김 종자 생산 및 육상 양식 공모 사업’에 참여했다. 2018년부터 김 육상 양식 기술 개발을 추진해 2021년 수조 배양에 성공했으며, 현재 육상 양식 전용 품종 등을 개발하고 있다. 풀무원은 지난해 10월 새만금개발청, 전북도, 군산시 등과 5자 투자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달 민·관·학 상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동원F&B는 제주도의 용암 해수를 활용한 김 육상 양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제주테크노파크와 협력한 데 이어 지난 1월 제주도와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용암 해수는 미네랄이 풍부하고 연중 수온이 약 16도로 안정적이어서 고품질 김 생산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상 역시 2023년부터 전남 고흥군, 하나수산과 협력해 친환경 김 육상 양식 기반 구축 시범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1차 시범 양식에 성공했으며 오는 5월 2차 시범 양식 시설을 준공한다.
무안 서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