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승용차 수입액 45% 급증…4년만에 최대 증가폭

작년 승용차 수입액 45% 급증…4년만에 최대 증가폭

입력 2015-01-27 10:57
업데이트 2015-01-27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천500㏄이하 경유차는 16배로어…승용차 무역흑자 감소

지난해 승용차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수출은 소폭으로 늘어 승용차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줄었다.

27일 관세청의 ‘2014년 승용차 교역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승용차 수출액은 439억5천600만달러(302만2천대)로 전년보다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승용차 수입액은 79억7천800만달러(25만6천대)로 전년보다 45.4% 급증해 무역수지 흑자는 359억7천800만달러로 전년보다 4.8% 감소했다.

수출차 평균단가는 대당 1만4천544달러 로 전년보다 1.6% 증가했고, 수입차 평균단가는 3만1천144달러로 전년보다 4.5% 올랐다.

관세청은 무역수지 흑자 감소에 대해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해외 현지생산이 점차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했다.

승용차 수입이 급증한 이유는 소형차와 고급차 수요가 큰 폭으로 늘었고, 할부 마케팅 등이 활성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승용차 수입액 증가율은 2010년에 55.5% 증가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배기량별로 휘발유차 수출은 주력품목인 1천500㏄∼2천㏄ 승용차가 1.5% 증가한 반면, 1천㏄∼1천500㏄ 승용차는 전년대비 6.2%, 2천㏄ 초과 승용차는 6.3% 올랐다. 경유차의 수출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수입차의 경우 1천㏄∼1천500㏄ 이하 휘발유차 수입이 전년보다 7배로 증가했고, 1천500㏄이하 경유차 수입은 전년보다 16배로 급증했다. 중대형차로 2천㏄ 초과 경유차 수입이 64% 늘었고, 휘발유차 수입이 30.2% 증가했다.

승용차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중대형 휘발유차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졌고, 최대 수입국은 중대형차의 경우 독일이, 소형차는 영국과 스페인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