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가 휩쓴 관광업계…작년 살림살이 어려웠다

메르스가 휩쓴 관광업계…작년 살림살이 어려웠다

입력 2016-01-05 09:49
업데이트 2016-01-05 09: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의 여파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줄면서 관광업계 살림살이가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국내 관광사업체 332개사를 조사한 ‘2016년 연간 및 1분기 관광산업 경기·관광지출 전망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 업체의 48.5%가 2015년 관광사업체 경기가 불황기였다고 답했다.

예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47.9%였으며 호황기였다고 답한 업체는 3.6%에 그쳤다.

특히 업종별로 카지노업(63.6%), 유원시설업(56.7%), 여행업(52.9%), 특급호텔(50%) 등은 지난해 경기가 불황이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2014년과 비교해 2015년 관광사업체 매출액 평균 증감률은 -5.97%였다. 업종별로 매출액 증감률은 여행업 -8.88%, 유원시설업 -7.62%, 카지노업 -5.11%, 호텔업 -4.42% 등이다.

작년 5월 국내에서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하고서 6∼7월에 방한 외래객이 급감하면서 관광업계 경기가 나빠졌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실제로 6월과 7월 외래관광객은 각각 전년 같은 달보다 41%, 53.5% 줄었다.

그 여파로 2015년 1∼11월 방한 외래객 수도 전년 같은 기간(1천420만1천516명)보다 7.62% 감소한 1천211만5천201명이었다.

올해 1분기 관광사업체 업황 전망지수(BSI)도 91로 부정적인 전망이 앞섰다.

다만 2016년 연간 BSI는 107로 나타나 점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내다보는 관광업계의 기대심리가 반영됐다.

BSI는 100 이상이면 긍정적인 응답을 한 업체가 부정적으로 응답한 업체보다 많고, 100 이하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올해 관광산업 매출 평균 성장률 전망치는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3.1%보다 2배가량 높은 6.29%로 나왔다.

외래 관광객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저가 관광상품 문제, 동남아시아 경제성장률 하락 등으로 방한 관광시장 활기 회복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연구원은 예측했다.

또 연구원은 국내 경기상황 악화로 지난해 하반기 다소 회복했던 내수 경기가 다시 위축하면 관광산업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