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넘은 美 ‘물가 쇼크’… 금리인하 6월로 미뤄질 듯

예상치 넘은 美 ‘물가 쇼크’… 금리인하 6월로 미뤄질 듯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4-02-15 00:24
업데이트 2024-02-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월 소비자물가지수 3.1% 상승
코스피·닛케이 하락세로 돌아서

미국의 지난달 물가 상승세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전 세계 금융시장이 휘청거렸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뒤로 밀릴 거란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하자 연일 상승세를 보이던 코스피와 닛케이225도 하락 전환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는 전일 대비 29.22포인트(1.10%) 하락한 2620.42에 장을 마감했다. 설 연휴 전인 지난 7일과 8일에 이어 13일까지 상승세를 이어 갔으나 결국 2650 턱밑에서 미끄러졌다. 3거래일간 5.1% 상승해 3만 8000선 돌파를 목전에 뒀던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전일 대비 260.65(0.69%) 하락한 3만 7703.32선에서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7.3원 오른 1335.4원에 마감됐다.

이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면서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 13일(현지시간)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1월 미 CPI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1% 상승하며, 시장 전문가의 예상치(2.9%)를 웃돌았다.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1.37%, 나스닥지수는 1.80% 하락 마감됐다.

금리인하 시점은 기존 5월이 아닌 6월로 미뤄질 거란 전망이 우세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5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35%까지 낮아졌다. 불과 1주일 전 예상치인 70%와 비교하면 반토막 났다. 이에 비해 6월 인하 가능성은 75%까지 올라갔다. 오는 29일 발표될 개인소비지출(PCE)이 나와야 전반적인 물가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개인소비 지출이 소비자 물가지수보다 훨씬 더 중요해졌다”면서 금리인하 시작 시점 역시 6월로 내다봤다.

한편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미 1월 CPI와 관련해 “대내외 잠재 리스크 요인이 여전한 상황에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면서 “지나친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과도한 차입 투자를 활용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나리 기자
2024-02-15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