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 괜찮나요” 최태원 물음에 뭐라 답할 텐가

[사설] “우리 괜찮나요” 최태원 물음에 뭐라 답할 텐가

입력 2024-05-08 03:24
업데이트 2024-05-08 0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해온 그대로 나아가도 괜찮은지 물어야 할 때’라며 한국 사회를 진단하는 근본적인 화두를 던졌다. 저성장이 가져온 여러 문제를 풀려면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기 국회가 곧 개원을 앞둔 상황에서 그가 던진 물음이 사뭇 무겁게 다가온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를 둘러싼 경쟁 격화에서 보듯 세계 시장질서는 급변하고 있다. 경제성장률이 연 2% 안팎까지 떨어진 지금 거대한 변화의 물결에 올라타지 않으면 저성장의 나락에서 헤어 나올 수 없다. 경제·사회 전반의 구조개혁이 미뤄지면 국가 존망의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다는 인식 속에서 최 회장은 정부, 국회, 기업,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아야 할 때라고 강조한 것이다.

새로운 방법론을 찾아야 할 주체는 단연 정부와 정치권이다. 법과 규제를 만들 때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무신경한 경우가 많았다며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접근으로 합리적인 법안을 만들어 달라는 최 회장의 주문을 새겨들어야 한다.

21대 국회의 입법 성적표는 처참하다. 지난 4년간 발의된 법안 2만 5830건 중 9455건만 가결돼 법안 처리율이 36.60%에 그쳤다. 여소야대 지형 속에서 정쟁만 되풀이한 탓이 크다.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파와 구조 개혁을 이끌 법안 대부분이 좌초될 상황이다. 세계 경제의 선도자가 될 수도 있는 우리 기업들 발목을 정치가 붙들고 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의 물음은 우리 정치가 달라져야 한다는 호소다. 소모적인 힘겨루기나 포퓰리즘 입법이 아니라 위기의 국가 경제를 살리고 민생 안정을 도모하는 ‘진짜 일’을 해 달라는 물음에 여야는 진지한 답변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2024-05-08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