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노랑의 순간을 가르쳐 준 시인에게

[정은귀의 詩와 視線] 노랑의 순간을 가르쳐 준 시인에게

입력 2024-03-12 04:05
업데이트 2024-03-12 0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떤 노랑의 순간, 마치 사년 뒤 아버지,

전쟁에서 돌아와 그를 맞이한 바로 그

순간, 계단참 아래 더 젊고 마른 모습

으로 아버지 서 있던 순간은 보라였어.

그 순간들 더는 그렇게 색칠되지 않아.

배경 어딘가 작은 장미무늬 방들이 있고.

예쁜 건 예쁘게 하는 것. 어느 가족들은

필요의 의미가 미리 필요한 감정과 일치

하지. 더 좋은 것들 울타리 안에 모아져.

창문들은 풀리지 않는 흰 커튼으로 좁아

지고. 여기 모든 야망에서 놓여난 반복들.

―린 허지니안, ‘나의 인생’ 중

봄이다. 쌀쌀하지만 연한 하늘빛은 영락없는 봄 하늘이다. 우리 집의 봄은 식탁 위 노란 프리지어와 함께 온다. 노란 프리지어. 노랑은 내게 발견의 색깔이다. 침침한 시선을 환하게 틔워 주는 색깔. 시를 색깔에 빗대어 설명한다면 내겐 노랑의 시가 있다. 유학 시절 시집이 닳도록 읽던 린 허지니안의 ‘나의 인생’, 미국 시의 문법을 바꾼 시다.

노랑의 순간 시인은 어린 날을 회상한다. 2차 세계대전에 나간 아버지가 돌아오셨다. 계단참 아래 서 계시던 아버지. 조금 야윈 듯, 조금 젊어진 듯, 아버지가 전쟁에서 돌아오신 순간을 시인은 노랑의 순간으로, 그 기적을 노랑으로 보라로 바뀌는 신비로 묘사한다.

아버지가 돌아와 가족들은 다시 하나가 된다. 필요한 것은 필요하다는 느낌. 어려운 시절, 창문엔 하얀 면 커튼이 드리워져 있다. 커튼은 바깥의 침범을 보호해 주는 든든한 방어막이다. 시집은 시인의 삶 속에 각인된 노랑의 기억들로 가득하다. 노랑이 환기하는 놀람과 발견의 순간들이 반복된다. 반복은 사소하기 그지없는 평범한 순간들로 엮인다. 커다란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무심히 흘러간 사소한 일들이 기억 속에 문득문득 환기된다. 그 반복에는 거창한 야망이 없다. 야망에서 자유롭기에 소중하게 남을 수 있을지 모른다.

봄이 시작되는 이 시점에 되물어 본다. 우리 지나는 시간 속에 어떤 노랑의 순간들이 있었는지? 그 노랑의 순간은 떠난 후에야 비로소 깨닫는 선물일 수도 있고, 예상치 못하게 만나는 환대의 기억일 수도 있다. 지나는 겨울 내가 새기는 노랑의 기억은 수술실에 누워 바라본 불빛이었다. 불안과 두려움일 수 있었을 그 불빛이 불안이 아닌 온전한 평화로 온 것은 기적이었다.

그건 모든 걸 내려놓는 마음이었는데 그 마음을 가능하게 한 것은 아버지의 말씀이었다. 삶의 매 순간은 허투루 보내는 시간이 아니라 의지 속에서 새로운 의미가 주어지는 싸움이라고. 그 말씀에 따라 마음을 굳건히 하니, 마취 직전의 불안이 평화로 바뀌었다. 나는 두려움 없이 잠들었고 다시 잘 깨어날 수 있었다.

시인은 말한다. 예쁜 건 예쁘게 한다는 것, 여기서 동사 ‘do’의 쓰임이 중요하다. 그 구절을 변주해 보면 좋은 것은 좋게 하는 것. 하는 것은 의지요, 행위요, 실천이다. 그렇다면 노랑의 순간, 노랑의 기다림도 노랑을 행하는 마음으로 온다. 그 신비를 알려준 시인 린 허지니안. 1941년 3월 17일에 태어난 시인은 2024년 2월 24일 본향으로 돌아갔다. 이 글은 시의 시선이 곧 발견임을 가르쳐 준 시인에게 보내는 작은 고별사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2024-03-12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