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와송(瓦松)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와송(瓦松)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1-16 00:00
업데이트 2014-01-16 0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 기와 지붕에서 자란다는 풀을 약초라며 소개하는 방송을 보고 적이 놀랐다. 외양이 소나무의 잎과 꽃을 닮아 ‘와송’(瓦松)으로 불린다고 한다. 한갓 잡초로 여겼던 풀에 한약 성분이 들어 있다니···. 자태가 고와 관상용으로 키운다는 대목에선 자연의 위대함마저 오롯이 전해진다. 석면 투성이인 슬레이트 지붕에서 고구마를 말린 ‘삐대기’를 주전부리 삼아 먹었던 것 만큼이나 무지한 나를 탓했다. 시골에는 지천으로 깔린 게 풀이다. 농로가엔 민들레가, 밭 한가운데는 쇠비름 같은 잡초가 무성하다. 아무리 잡초라 할지라도 그저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보다. 흥미로운 건 마을 인근 야생초에는 독초가 거의 없다는 사실. 천렵으로 잡은 민물고기로 매운탕을 끓일 때 주위에 있는 풀들을 듬뿍 뜯어 넣어도 탈이 나는 법이 없었다. 오랜 세월을 인간과 교감하며 살아온 야생초만의 힘인지도 모른다.

그야말로 산야초의 시대다. ‘모르면 잡초, 알면 약초’란 말이 새삼 가슴에 와 닿는다. 마침 시골에 갈 일이 생겼다. 길섶의 풀 한 잎도 예사롭게 보이지 않을 듯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1-16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