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락 탄핵’ 여파로 태국 정가 ‘긴장모드’로 전환

‘잉락 탄핵’ 여파로 태국 정가 ‘긴장모드’로 전환

입력 2015-01-30 11:16
업데이트 2015-01-30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태국 의회가 잉락 친나왓 전 총리를 탄핵한 것을 계기로 태국 정가에 ‘긴장모드’가 조성되고 있다.

지난해 쿠데타로 집권한 프라윳 찬-오차 태국 총리는 29일 정치적 갈등을 조장하는 인사들은 누구든 소환해 ‘교화’하겠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경고는 지난 23일 군부 주도로 구성된 의회가 잉락 전 총리를 쌀 수매 정책과 관련한 업무 방기를 이유로 탄핵하고 나서 국내외에서 정치적 음모라는 비판이 제기된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잉락 전 총리는 탄핵됨으로써 앞으로 5년 동안 정치 활동이 금지됐다.

정치 관측통들은 정계에 영향력이 강한 탁신 친나왓 전 총리의 여동생인 잉락 전 총리를 탄핵한 것은 친 탁신 세력의 재집권을 막기 위한 포석이라고 풀이했다.

지난 26일 태국을 방문한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잉락 전 총리에 대한 탄핵이 정치적 의도에 의한 것으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군부는 잉락 전 총리 탄핵 후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며 잉락 전 정부의 핵심 인물이었던 수라퐁 토위착차이쿤 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을 29일 소환한 뒤 3시간 만에 풀어줬다.

친 탁신 인사인 싱통 부아쿰 전 의원과 차뚜론 차이생 전 내무장관도 소환된 것으로 알려졌다.

탁신 전 총리의 아들인 판통태는 잉락 전 총리 탄핵 후 소셜네트워크에 선동적인 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군부의 경고를 받았다.

당국은 그가 선동적 행위를 계속하면 소환하겠다고 위협했다.

군부는 비판적 인사들을 소환하면 현 정치 상황을 이해시키고, 사회 질서 유지와 국가 발전을 위해 협조를 당부할 뿐 이들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군부의 요구에 응하지 않는 일부 인사들은 장기간 억류되거나 이런저런 범법 행위를 명목으로 처벌받고 있다.

군부는 또 29일 방콕에서 독일 시민단체 주도로 열릴 예정이었던 언론 자유에 관한 토론회를 취소시켰다.

군부가 지난해 5월 쿠데타를 일으키자 방콕에서 반년 가까이 계속되던 반정부 시위 사태가 중단돼 외관상 사회 질서와 평화는 회복됐다.

그러나 군부에 대한 저항과 민주주의 회복 요구는 적지 않게 잠재해 있어 군부가 국민 자유를 지나치게 억압하거나 민정 이양을 늦추면 이 같은 불만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