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오페라 다 있네…유쾌한 현대판 셰익스피어 ‘한여름 밤의 꿈’

연극·오페라 다 있네…유쾌한 현대판 셰익스피어 ‘한여름 밤의 꿈’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4-15 06:00
업데이트 2024-04-15 06: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여름 밤의 꿈’은 원작이 지닌 유쾌함을 고스란히 살려내면서 관객들에게 웃음을 안겼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한여름 밤의 꿈’은 원작이 지닌 유쾌함을 고스란히 살려내면서 관객들에게 웃음을 안겼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국립오페라단이 ‘오페라는 재밌다’는 걸 또다시 보여주며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형식은 오페라였지만 마치 연극 같은 무대 덕분에 오페라가 아직은 어려울 학생 관객들도 즐겁게 볼 수 있는 시간을 선물했다.

국립오페라단이 11~14일 2024년 두 번째 작품인 ‘한여름 밤의 꿈’을 선보였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동명 희곡을 원작으로 영국의 오페라 작곡가 벤저민 브리튼이 곡을 써서 1960년 초연한 현대 오페라다. 보기 드문 영어 오페라로서 이번이 국내 초연이다.

‘한여름 밤의 꿈’은 요정의 왕 오베른과 그의 아내 티타니아의 이야기를 주축으로 어느 여름밤 요정의 실수로 갑자기 뒤죽박죽이 된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셰익스피어가 유머 감각을 발휘해 말 그대로 한여름 밤의 꿈 같은 일이 유쾌하고 즐겁게 펼쳐진다. 브리튼은 장면 일부를 삭제했지만 원작을 충실하게 담았고 나아가 오베른과 타티아나를 신적인 존재가 아닌 현실 부부처럼 그려 친근감을 더했다.

국립오페라단이 선보인 ‘한여름 밤의 꿈’은 현대 오페라답게 연출이 현대적이면서도 지나치게 추상적으로 꾸며 우주로 뻗어나가지 않는 선을 지키며 시선을 사로잡았다. 성악가들의 분장이나 의상은 현대적으로 꾸몄으면서도 무대 장치들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세워둠으로써 고전과 현대의 적절한 조화를 이뤘다. 현대음악이다 보니 클래식 오페라보다 음악이 어려운 감은 있었지만 돋보이는 무대 연출 덕분에 연극 작품처럼 다가오는 매력이 있었다. 오페라 애호가도, 초심자도 모두 사로잡을 수 있는 연출이었다.
이미지 확대
국립오페라단이 선보인 ‘한여름 밤의 꿈’은 고전을 현대적으로 연출하면서도 관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면서 시선을 사로잡았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국립오페라단이 선보인 ‘한여름 밤의 꿈’은 고전을 현대적으로 연출하면서도 관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면서 시선을 사로잡았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대개 오페라는 큰 웃음 포인트 없이 진지하게 감상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한여름 밤의 꿈’은 달랐다. 원작이 품은 재미를 오페라 역시 고스란히 끌어오면서 객석에서 종종 웃음이 터져 나왔다. 성악가가 아니라 마치 희극인 같은 연기력이 직관적인 무대 연출과 맞물려 관객들을 집중시켰다. 코미디 연극 같으면서도 동시에 성악가들의 출중한 실력만큼은 이것이 오페라라는 걸 잊지 않게 했다.

영국 오페라로서 특유의 영국식 발음을 살린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오페라 데뷔로 관심을 모았던 그룹 신화 멤버 김동완은 작품에 필요한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며 캐스팅된 이유를 당당히 증명해 보였다.

클래식 오페라처럼 가슴을 웅장하게 울리는 아리아는 없었지만 브리튼은 다른 음색의 악기를 활용해 각 인물과 장면에 맞는 곡을 선보였다. 다채로운 음색의 향연은 작품이 품은 복잡한 감정들을 세밀하게 표현해냈고 덕분에 관객들은 낯설고 어려울 수 있는 현대 오페라를 부담 없이 감상할 수 있었다.

지난 2월 선보인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에 이어 두 작품 연속으로 유쾌 발랄한 오페라를 선보인 국립오페라단은 5월 코른골트의 ‘죽음의 도시’로 돌아온다. 미국 할리우드 황금시대를 이끌었던 음악감독 코른골트가 23세일 때 만든 오페라로 세계 1차 대전 이후 죽음과 슬픔을 다뤄 초연부터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