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철 “자영업 10년간 949만개 창업, 793만개 폐업”

심재철 “자영업 10년간 949만개 창업, 793만개 폐업”

입력 2015-09-01 07:21
업데이트 2015-09-01 0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업·폐업 ‘음식점’이 최다’묻지마식 창업’이 문제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선 매년 평균 100만개 가까운 자영업이 창업하고, 약 80만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4∼2013년 개인사업자(자영업) 창업은 949만개, 폐업은 793만개로 집계됐다.

이를 단순 비교하면 자영업의 생존율이 16.4%로, 창업 후 6개 중 1개꼴로만 살아남는 셈이라고 심 의원은 분석했다. 2013년의 경우 92만6천558개가 문을 열었으며, 같은 해 80만5천328개가 문을 닫았다.

업종별로는 창업과 폐업 모두 음식업이 가장 많았다. 치킨집이나 커피숍 등이 대표적인 음식업은 10년간 187만2천75개가 창업해 전체 창업의 19.7%를 차지했고, 174만4천138개가 폐업해 전체 폐업 가운데 22.0%를 차지했다.

창업의 경우 음식업에 이어 ▲미용실이나 네일숍과 같은 서비스업(185만6천197개, 19.6%) ▲편의점이나 옷가게 같은 소매업(182만576개, 19.2%) 등의 순으로 많았다. 폐업은 음식업에 이어 소매업(162만1천533개, 20.5%), 서비스업(156만8천595개, 19.8%) 등의 순이었다.

창업과 폐업을 비교한 생존율로 보면 음식점이 6.8%에 불과해 농림어업(5.2%)에 이어 가장 낮았다.

장사가 된다 싶으면 너도나도 뛰어드는 ‘묻지마식 창업’, 유행에 따라 주력 메뉴가 바뀌는 ‘손바뀜’이 많은 탓과 함께 창업자의 전문성 부족 등이 그 이유로 추정됐다.

지역별로 보면 인구가 집중된 경기(234만4천201개, 24.7%), 서울(206만355개, 21.7%), 인천(53만2천606개, 5.6%) 등 수도권에서의 창업이 과반(493만7천162개, 52.0%)을 차지했다.

폐업 역시 경기(184만3천200개, 23.2%), 서울(175만9천987개, 22.2%), 인천(44만2천516개, 5.6%) 등 수도권이 절반을 넘었다(404만5천703개, 51.0%).

심 의원은 “2014년 창업, 폐업은 올해 말 집계되지만,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 등으로 자영업이 심각한 위기를 맞은 것은 틀림없다”며 “실효성 있는 자영업자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