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을 ‘전직 도지사 빅매치’ 승자는 김태호

양산을 ‘전직 도지사 빅매치’ 승자는 김태호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4-04-11 00:41
업데이트 2024-04-11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험지 배치 불구’ 탈환 성공 ‘선거의 달인’ 재확인
‘힘 있는 여당 정치인’ 내세워 ‘정권 심판’ 바람 돌파

이미지 확대
김태호 국민의힘 후보가 경남 양산 한 전통시장에서 상인과 대화하고 있다. 김태호 후보 페이스북
김태호 국민의힘 후보가 경남 양산 한 전통시장에서 상인과 대화하고 있다. 김태호 후보 페이스북
경남 양산을에서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맞붙은 김태호 국민의힘 후보가 22대 총선에서 51.8% 득표(11일 0시 40분 기준, 개표율 91.2%)로 당선을 확정했다.

선거의 달인, 김 후보의 저력은 전국적으로 거셌던 국정심판 바람마저 뚫어냈다. ‘친노 성지’라 불리는 김해에서 재선 의원을 지냈던 그는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를 인근에 둔 ‘친문 성지’ 양산을마저 탈환하며 정치적 체급을 키웠다.

김 후보는 이번 22대 총선 경남 양산을 선거에서 지역구 수성에 나섰던 김두관 후보를 꺾고 당선됐다. 경남 양산을은 18년 만의 리턴 매치, 전직 경남도지사 간 대결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두 후보는 군수·경남도지사·국회의원·대권주자 등 비슷한 길을 걸어오기도 했다.

41세 때 ‘역대 최연소 도지사’ 타이틀을 거머쥔 김 후보는 지역 내 탄탄한 경쟁력과 인지도를 앞세워 민주당의 동남풍을 저지했다. 웅상선 조기 착공·KTX 정차역 신설, 천성산 터널 건설, 웅상병원 조기 정상화, 사송신도시 양방향 하이패스 IC 설치 등 지역 맞춤형 공약도 주요했다. ‘양산이 발전하려면 여당의 힘 있는 정치인이 당선되는 게 맞다’는 메시지도 통했다.

4선 고지에 오른 김 후보의 당내 입지도 한층 탄탄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의 험지 출마 요청을 전격 수용하고 총선에 뛰어들어 승리까지 거머쥐었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당내 차기 대선 주자로서 입지도 다지게 됐다.

김 후보는 “지역 발전에 대한 양산시민들 기대를 명령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대한민국 정치를 변화시키는데 쓸모 있는 역할을 해 달라는 준엄한 요구도 포함돼 있다고 본다”며 “죽을힘을 다해서 양산시 발전을 위해서 뛰겠다. 국가 상황이 굉장히 위기라고 보는데, 그 위기를 돌파하는 데 앞장서서 어떤 길이든 가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1998년 경남도의원을 시작으로 정치에 입문한 뒤 2002년 거창군수에 올랐다. 2004년 김혁규 당시 경남지사 사퇴로 보궐선거가 치러지자 군수직을 사퇴하고 도지사에 도전해 당선했다.

2006년 제4회 지방선거 때 당시 열린우리당 후보였던 김두관 후보를 제치고 도지사 재선에 성공했다. 2011년 보궐선거와 2012년 19대 총선 때 김해을에서 연거푸 당선한 그는 21대 총선 때 산청·함양·거창·합천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3선 고지를 밟았다. 22대 총선을 앞두고 선거구를 양산을로 옮겼다.
양산 이창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