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뱃돈으로 쓸 1만원권 새 지폐 모자라요”

“세뱃돈으로 쓸 1만원권 새 지폐 모자라요”

입력 2014-01-17 00:00
업데이트 2014-01-17 09: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만원, 5만원권 새 지폐 공급 모두 줄어

올해 설에는 빳빳한 새 지폐를 세뱃돈으로 주고받는 일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17일 농협 등 금융기관에 따르면 올해 설을 앞두고 세뱃돈 수요를 위해 확보한 새 지폐 수량이 작년보다 대폭 줄었다.

농협 경북지역본부의 경우 작년 설 무렵에 확보한 1만원권 새 지폐는 80억원 규모에 달했으나 올해는 30% 가량 줄어든 50억원에 그쳤다.

5만원권 새 지폐 또한 작년 설 무렵보다 20% 가량 줄었다.

이에 따라 오는 22일부터 새 지폐 교환이 시작되면 지역 700여개 점포에서 새 돈을 확보하려는 고객들의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세뱃돈 수요가 가장 많은 1만원권 새 지폐의 품귀 현상은 지난 2009년 5만원권 발행 이후 공급이 급감하면서 연례 행사처럼 지속하고 있다.

여기에 현재도 사용 가능한 1만원권 구권이 한국은행에 많이 쌓여 있는 것도 새 지폐 발행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최근 5년간 매년 줄어들던 1만원권 발행이 작년에 증가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설을 앞두고 급증하는 새 지폐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5만원권의 경우 새 지폐는 고사하고 구경 자체가 쉽지 않다.

한국은행에서 공급된 5만원권이 제대로 돌지 않기 때문이다.

작년 1∼9월 대구와 경북지역의 5만원권 회수율은 26.7%에 불과하고 전국적으로도 49.0%에 머무는 등 시중에 풀려나간 5만원권의 절반 이상이 한국은행 금고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설을 맞아 자손들에게 줄 세뱃돈이나 어른들께 드릴 용돈을 새 지폐로 바꾸는 일이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시민들에게 적잖은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대구에 사는 이모(45·회사원)씨는 “요즘은 초등학교 고학년만 돼도 세뱃돈으로 1만원은 줘야 하는 분위기인데 새 지폐 구경하기 어렵다고 하니 걱정스럽다”면서 “5천원권이나 1천원권 새 지폐로 대신해야 할 텐데 그마저도 쉽게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