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응급실 수용 거부’ 50대 환자 사망…중수본 사실관계 파악 나서

부산서 ‘응급실 수용 거부’ 50대 환자 사망…중수본 사실관계 파악 나서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4-04-11 17:57
업데이트 2024-04-11 1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에서 50대 급성 심혈관 환자가 수술할 병원을 제때 찾지 못해 사망한 일이 뒤늦게 알려졌다.

보건복지부는 이 사안이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말미암은 중대피해에 해당하는지 등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
이미지 확대
119 구급차 이미지.
119 구급차 이미지.
11일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오전 6시 13분쯤 부산 동구 수정동 한 모텔 앞 주차장에서 운전 중 호흡 곤란을 겪고 있다는 50대 남성 A씨 신고가 119상황실에 접수됐다.

7분 뒤인 오전 6시 20분쯤 현장에 도착한 구급대원은 A씨가 등과 가슴 통증을 호소하자 심혈관계 질환을 의심했고, 응급 처치 후 A씨를 수용할 병원을 물색했다.

구급대원은 대학병원을 포함해 10여 곳에 환자 수용 여부를 물었지만 ‘수술할 의사가 없다’는 등 이유로 수용 불가능 통보를 받았다.

수용 가능 병원은 30분 뒤인 오전 6시 50분이 돼서야 선정될 수 있었다. A씨는 약 9분 뒤인 오전 6시 59분쯤 수영구 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병원에서 A씨는 ‘급성 대동맥 박리’ 진단을 받았다.

대동맥 박리는 심장 대동맥 벽에 있는 층이 찢어지고 층 사이 혈액이 흐르면서 부풀어 오르고 터지는 질환이다. 급성 대동맥 박리는 만일 치료하지 않으면 24시간 이내 사망률이 약 25%에 달하지만, 수술 난이도가 높고 위험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수술할 의사 부재로 도착한 병원에서도 수술받지 못했다. 병원 의료진은 급히 부산과 울산 지역 다른 병원에 전원을 요청했고, A씨는 결국 56㎞가량 떨어진 울산 중구 한 종합병원으로 다시 옮겨졌다. 이 병원에서 A씨는 수술을 받았지만, 지난 1일 끝내 사망했다.

A씨 가족들은 평소 건강했던 A씨가 ‘응급실 뺑뺑이’로 골든타임을 놓쳐 죽음에 이르렀다며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는 A씨 가족 민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부산시는 A씨가 최초 도착했던 병원 의무기록 등을 조사해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보고했다. 이 사안이 의사 집단행동에 따른 중대피해에 해당하는지는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판단할 예정이다.
부산 정철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