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사건 재판장 집요한 질문에 검찰·변호인 ‘진땀’

CJ사건 재판장 집요한 질문에 검찰·변호인 ‘진땀’

입력 2014-01-14 00:00
업데이트 2014-01-14 13: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재현(53) CJ그룹 회장에 대한 14일 공판에서 재판장이 최종 절차를 앞두고 1시간 넘는 질문 공세를 퍼부어 검찰과 변호인이 진땀을 흘렸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4부(재판장 김용관 부장판사) 심리로 이날 열린 공판에서 재판장은 해외 유령회사(특수목적법인)를 통한 이 회장의 조세포탈 혐의와 관련해 궁금한 점을 양측에 캐물었다.

이 회장은 로이스톤 등 4개의 해외 특수목적법인을 통해 CJ 주식을 거래해 조세 215억여원을 포탈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날 재판 초반 질문의 화살은 이 회장 측 변호인으로 향했다.

재판장은 “이재현 회장이 1달러짜리 명의상 회사를 만들어서 자신의 의사에 따라 모든 결정을 했고 결국 세금을 하나도 안 냈다”며 “법인격을 무시한 운영에 의문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재판장은 “경영권 안정화 목적을 주장하지만 조세회피 목적이 전혀 없었다고 볼 수 있나”라고 물었다.

재판장은 검찰 측에도 날카로운 질문을 이어갔다. 뚜렷한 불법 행위가 없었다면 해외 특수목적법인을 통한 주식 거래만으로 형사상 조세포탈 혐의가 성립했다고 볼 수 있는지 추궁했다.

재판장은 “누구나 특수목적법인을 이용할 수 있고 법률도 이를 허용한다”며 “이재현 회장이 자금 추적을 어렵게 하는 등 적극적인 은폐 행위를 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처벌할 수 있나”라고 말했다.

재판장은 “특수목적법인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다른 행위를 한 것이 없어 선박왕 권혁과 비교하기는 무리다”고 덧붙였다.

조세포탈 혐의는 이 회장의 공소사실 가운데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검찰과 변호인은 재판장의 보기 드문 질문 공세에 설득력 있는 답변을 내놓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었다.

이 회장은 2천억원대 횡령·배임·탈세 범죄를 한 혐의로 작년 7월 구속기소됐다. 신부전증을 앓던 이 회장은 작년 8월 신장 이식수술을 이유로 구속집행정지 결정을 받았다.

이 회장은 건강상의 문제를 이유로 이날 오전 공판에 나오지 않았다. 오후 3시께 법정에 나와 피고인 신문을 받을 예정이다. 이후 검찰 논고와 구형, 피고인 최후 진술이 이어진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