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 ‘환’으로…한은, 盧정부 시절 화폐개혁 추진했다

‘원’서 ‘환’으로…한은, 盧정부 시절 화폐개혁 추진했다

입력 2010-12-02 00:00
업데이트 2010-12-02 0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은행이 2008년부터 화폐단위를 ‘원’에서 ‘환’으로 바꾸는 화폐개혁을 시도했던 사실이 밝혀져 눈길을 끌고 있다.

박승 전 한은 총재는 2일 발간한 회고록 『하늘을 보고 별을 보고』에서 노무현 정부 당시 화폐개혁을 추진했던 일화를 공개했다.

회고록에 따르면 박 전 총재는 2002년 취임 직후 17명으로 구성된 ‘화폐개혁추진팀’을 구성, 1년 동안 ▲1천원을 1환으로 바꾸고 ▲고액권 100환(10만원)과 50환(5만원)을 새로 발행하고 ▲지폐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러한 리디노미네이션(화폐 액면단위 변경)이 성공하면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거의 1대1로 맞춰질 수 있었다.

새로 도입할 화폐에는 100환과 50환권에 김구와 신사임당 도안을 넣고 5환(5천원)과 1환(1천원)의 도안도 기존의 이이와 이황에서 정약용과 장영실로 바꿀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폐개혁안은 관료들의 반대에 부딪혀 백지화됐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뇌물 등 부패 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화폐개혁은 지난해 고액권(5만원권)을 새로 도입하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김구를 도안으로 한 10만원권 발행도 무산됐다.

박 전 총재는 회고록에서 “고액권 발행도 아직 5만원권 밖에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언젠가는 화폐개혁을 미룬 것을 후회할 때가 올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서울 주변에 신도시가 건설된 배경도 흥미롭다. 노태우 정부 시절의 일이었다.

노태우 정부는 신도시 후보지로 분당, 평촌, 산본, 중동 4곳을 꼽았는데, 당시 건설부 장관을 하고 있던 박 전 총재가 일산을 추가했다는 것.

그는 “40년 동안 서울 서북부인 은평구에 살아 경기 북부 지리를 잘 알다 보니 그런 발상이 가능했다. 강남·강북 균형발전을 위한 대책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도 “이제는 주택의 양적 부족이 아니라 질의 문제다. 앞으로는 신도시 대신 서울에 대규모 도시 재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추가 신도시 개발에는 반대했다.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