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하이마트 날개 달았다

롯데, 하이마트 날개 달았다

입력 2012-07-06 00:00
업데이트 2012-07-06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화점에 이어 생활가전 시장도 영향력양사 매출 10조원↑..업계 2위 부상할 듯

롯데그룹이 6일 가전 양판업계 최강자인 하이마트를 인수함에 따라 유통가 지형이 크게 변화할 전망이다.

롯데쇼핑은 이날 유진기업 등 하이마트 매각측과 하이마트 주식 1천540만주(65.25%)를 1조2천480억원에 인수했다.

하이마트는 전국에 314개 점포를 운영하는 최대 생활가전 양판 업체라는 점에서 롯데는 앞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에 이어 생활가전 시장에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이마트는 작년 국내 가전 양판시장에서 3조4천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삼성전자의 리빙프라자(1조8천500억원)와 LG전자의 하이플라자(1조3천980억원)의 매출을 합한 것보다 많다.

또 가전제품 배송과 설치 등 고객서비스 분야에 오랫동안 축적한 노하우를 갖고 있다.

롯데마트는 이미 가전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마트 안에서 디지털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인 ‘디지털파크’를 운영해 왔다.

롯데가 하이마트를 인수하면 하이마트가 기존 간판을 계속 유지할지, 롯데-하이마트·디지털파크·롯데마트 등으로 이름을 바꿀지, 그리고 주력 상품군은 기존 롯데 계열사와 어떻게 재편할지 등 운영 전략은 아직 구체적인 윤곽이 잡히지 않았다.

하이마트가 TV와 냉장고, 세탁기 등 대형생활가전 중심이라면 디지털파크는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가전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두 조직이 상품의 중복문제를 줄여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롯데의 가장 큰 숙제다.

이 때문에 롯데마트에서 디지털파크 전략을 총괄하는 ‘디지털사업본부’로 하이마트 조직이 통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롯데마트의 디지털파크는 2009년 11월 서울역점에 1호점이 생긴 이후 지금까지 12개의 마트로 확대됐다.

작년 롯데마트의 국내 매출은 6조9천억원을 기록해 두 회사의 매출을 합하면 10조원이 훌쩍 넘는다.

홈플러스(11조5천억원)와 이마트(13조8천억원)보다는 적지만 홈플러스가 해외 매장이 없다는 점에서 해외 매출까지 합하게 되면 롯데마트 유통조직은 홈플러스를 제치고 업계 2위로 부상하게 된다.

이와 함께 롯데가 하이마트의 막강한 구매력을 확보하면 롯데마트뿐 아니라 롯데홈쇼핑과 롯데닷컴 등 다른 계열사도 가전제품 영업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롯데는 기대하고 있다.

롯데쇼핑의 한 관계자는 “하이마트를 인수하면 최대의 시너지를 얻는 방안을 마련해 저렴한 제품과 우수한 서비스를 선보여 가전시장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