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값·특혜논란 쌍용건설 매각 진통예고

헐값·특혜논란 쌍용건설 매각 진통예고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조 “주가 낮아 인수사 유리” 주내 협상자 이랜드 결정될 듯

쌍용건설 매각이 궤도에 올랐지만 ‘헐값 매각’과 ‘특혜 논란’이 불거지면서 또다시 난항을 겪고 있다. 중견 유통업체인 이랜드그룹은 올해에만 세 차례 유찰된 쌍용건설 인수를 위해 최종 견적서를 제출했지만 안팎으로 반대 여론에 시달리고 있다.

1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의 대주주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이랜드와 가격조정이 마무리되는 대로 본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이랜드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이번 주중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쌍용건설 노조를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 상당한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논란의 중심은 헐값 매각에 따른 특혜 여부다. 주가가 바닥을 친 가운데, 굳이 매각을 서두르는 것은 정권 말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는 것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2008년 동국제강의 인수 추진 때와 비교하면 현재 쌍용건설 주가는 6분의1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매각을 차기정권으로 미루자는 주장까지 등장했다.

노조는 아울러 이랜드의 이종기업 인수가 앞서 대우건설, 극동건설을 인수했던 금호아시아나, 웅진처럼 ‘승자의 저주’를 불러올 것이라고 우려한다. 408%가 넘는 이랜드의 부채비율과 부족한 건설 경험도 반발을 사고 있다. 이랜드는 이랜드건설을 보유했지만 지난해 매출 976억원에 영업손실 66억원으로 ‘곁다리’에 그쳤다. 쌍용건설의 가치가 훼손될 것이란 게 노조의 주장이다.

노조는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 금융위원회 앞에서 매각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김성한 노조위원장은 “이랜드의 M&A 과정을 지켜보면 정상적 자금이라기보다 차입이 많아 부채비율이 높아졌다. ”고 주장했다. 노조 반발과 인수자금 출처가 이슈가 된 2010년의 현대건설 인수전에선 우선협상대상자까지 결정된 상태에서 인수자가 뒤바뀌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캠코로선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운용기한인 11월까지 매각 작업을 마쳐야 하는 상황이다. 쌍용건설은 5000억원대의 우발채무를 갖고 있고, 당장 다음 달부터 500억원가량의 만기채권이 도래한다. 순차적으로 갚아야 할 채무만 1500억원이 넘는다. 반면 대주주가 캠코라 워크아웃이나 사재출연, 출자전환을 택할 수도 없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8-0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