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大 백화점 모두 여름 세일 실적 ‘제자리걸음’

3大 백화점 모두 여름 세일 실적 ‘제자리걸음’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09: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현대·신세계 신장률 모두 1%대 머물러

3대 백화점 모두 이번 여름 정기세일에서 1%대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예년보다 2주 길게 세일을 벌였지만 계속되는 경기불황과 소비심리 위축에 백화점들은 결국 형편없는 성적표를 받아들게 됐다.

2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올 여름 정기세일(6월29일~7월29일) 매출은 지난해(6월24일~7월25일)보다 1.8% 신장했다.

현대백화점은 1.2%, 신세계백화점은 1.6% 각각 증가했다.

이는 그동안 17일이었던 세일 기간이 올해는 31일로 늘어났기 때문에 지난해 정기 세일기간(6월24일~7월10일)에다 이후 14일의 기간을 더해 비교한 수치다.

이번 세일에서 지난해와 동일한 일수인 초반 17일간의 실적만 놓고 보면 롯데와 현대는 각각 2.2%와 3% 감소했고, 신세계는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세일기간의 신장률(롯데 9%·현대 10.1%·신세계 12%)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번 세일에서는 불황을 모르던 명품의 판매도 주춤하는 모양새다.

명품 매출 신장률은 현대 12%, 신세계 9%로, 지난해(21%·18.8%)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보통 백화점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여성의류 매출은 눈에 띄게 부진했다.

롯데와 현대의 매출은 각각 0.8%와 2.7% 줄었다. 반면 신세계백화점은 0.3% 신장했다.

모피 판매도 저조했다. 롯데와 신세계의 매출은 각각 7%와 8.3% 감소했다.

남성의류도 성적이 좋지 않았다. 현대의 남성의류는 3.5%, 신세계의 남성정장은 4.8% 각각 줄었다.

반면 아웃도어와 여름용품은 두자릿수의 신장률을 기록하며 비교적 선방했다.

아웃도어의 매출은 롯데(21%), 현대(15.8%), 신세계(30%) 모두 증가했다.

윤달로 미뤄진 혼수 수요로 보석·시계류 판매성적도 좋았다.

롯데(28%)와 신세계(16%)의 매출이 늘었다. 같은 이유로 가구(롯데 14%·신세계 11%) 매출도 증가했다.

폭염 덕에 현대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각각 21.4%와 16.8% 늘었다. 신세계백화점에서도 에어컨과 선풍기 판매는 각각 10%와 17% 증가했다.

이처럼 백화점업계의 실적이 부진한 것은 경기불황이 장기화한데다 세일 기간 대부분 비와 폭염이 계속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