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가입자 1명 모으는데 700만원 쓴다

이통사, 가입자 1명 모으는데 700만원 쓴다

입력 2012-08-06 00:00
업데이트 2012-08-06 09: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상 최고 마케팅 비용에도 순증 가입자는 소폭 상승

이동통신사들이 올 2분기 사상 최고 수준의 마케팅 비용(마케팅수수료+광고선전비)을 들이고도 가입자 수는 크게 늘리지 못하는 ‘헛바퀴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들이 올해 2분기에 3사 모두 합쳐 2조356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쓰고도 28만9천719명의 순증(신규-해지) 가입자를 확보하는데 그쳐, 가입자 1명당 평균 702만원의 마케팅 비용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마케팅비용을 들인 이통사는 SK텔레콤으로 가입자 1명을 모으는데 약 933만원을 들였다.

SK텔레콤은 올 2분기에 전체 지출의 30% 수준인 9천600억원을 마케팅 비용(IR 자료 기준)으로 썼지만, 이동통신(CDMA·WCDMA·롱텀에볼루션(LTE)) 순증 가입자는 총 10만2천850명에 불과했다.

KT는 마케팅 비용을 5천890억원 사용했지만, 이동통신 가입자는 오히려 11만851명 줄었다.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에 비해 반년 가량 늦은 올 1월부터 LTE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가입자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LG유플러스는 작년 동기 대비 58.5%, 올해 1분기 대비 36% 증가한 4천866억원을 마케팅 비용으로 썼다. 순증 가입자는 29만7천720명으로 신규·번호이동 가입자 1명당 약 163만원이 들었다.

이통3사가 올 2분기 영업이익에 타격을 줄 정도로 마케팅 비용을 대거 지출했지만 가입자를 대폭 늘리는 데 실패한 것은 2010년 국내 이동통신이용자 수가 전체 인구를 넘어서면서부터 예견된 일이다.

지난해 이용자 수는 5천250만6천793명으로 전체 인구 4천977만9천명보다 약 300만명이 많았다. 이동통신시장 가입자가 전체 인구의 105%로 과포화 상태에 이른 것이다.

이인찬 SK텔레콤 마케팅전략본부장은 지난 2일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저출산으로 휴대전화 첫 개통 인구가 줄고 외국인 고객은 이동통신 재판매사업자(MVNO) 쪽으로 많이 빠지는 등 순증 가입자시장이 전체적으로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또 “마케팅 비용은 신규·기기변경 가입자를 모으는데 쓰는 것으로 해지 고객 수는 고려하지 않는다”며 “순증 가입자가 아닌 신규·기기변경 가입자 수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이 지난달 23일부터 LTE 단말기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하는 등 하반기부터는 이통3사 모두 소모적인 보조금 경쟁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