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짱 vs 눈치보기… 주유소의 양극화

배짱 vs 눈치보기… 주유소의 양극화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서초구 양재동 양재시민의 숲 인근 G주유소. 이곳에서 일반 휘발유 가격은 지난 4월 6일 이후 넉 달 동안 ℓ당 2380원을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 시내 휘발유 가격이 한때 ℓ당 160원 넘게 떨어졌지만 요지부동이다. 강남대로와 큰 아파트 단지 인근의 금싸라기 땅에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경기 성남시 분당에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 김부신(38·가명)씨는 “퇴근길에 간혹 이 주유소를 지나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 한 번도 이용하지 않았다.”면서 “서비스가 좋아 인근 ‘부유층’ 손님은 끊이지 않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한때 ℓ당 2135원까지 치솟았던 서울 시내 일반 휘발유 평균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면서 주유소 간 기름값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가격 하락기에 고가 주유소 마진 ↑

6일 오피넷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서울 시내에서 일반 휘발유 가격이 가장 비싼 주유소는 여의도의 경일주유소다. ℓ당 2395원으로 이날 서울 시내 평균값 2015.77원보다 380원 가까이 비싸다.

반면 최저가 주유소는 서대문구 홍은동 광호주유소로 1842원에 휘발유를 팔고 있다. 서울 평균값 대비 173원, 최고가 주유소 대비 553원 정도 저렴하다.

특히 기름값이 오를 때는 최고가·최저가 주유소의 차이가 작아지는 반면 내릴 때는 격차가 벌어지는 추세가 반복되고 있다.

월초 가격 기준으로 지난해 4월 서울 최고가·최저가 주유소의 가격 차는 396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후 454원, 6월 492원 등으로 벌어졌다. 같은 기간 서울 휘발유 평균가격은 2022.69원에서 1972.76원까지 떨어졌다.

반면 가격이 고공행진하던 하반기에는 반대의 추세가 나타났다. 지난해 6월 ℓ당 1972.76원에서 11월 2059.02원으로 치솟는 동안 최고가·최저가 차는 492원에서 431원으로 내려앉았다. 1996.37원에서 2121.02원까지 폭등했던 올해 1월부터 4월 사이에도 최고가·최저가 차는 100원 가까이 떨어졌다.

그러나 가격이 하향 안정화된 5월 이후에는 가격 차가 다시 벌어지고 있다. 5월 2123.00원에서 7월 1970.24원으로 기름값이 떨어지는 동안 최고가·최저가 차는 430원에서 563원으로 급등했다.

●의원님은 비싼 휘발유만 좋아해

이는 고가 주유소들이 유가 상승기에는 일반 주유소와 비슷하게 기름값을 올리지만 유가 하락기에는 판매가를 잘 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목 좋은 주유소는 손님이 끊이지 않아 배짱 가격을 유지할 수 있지만 변두리 주유소는 가격 말고는 내세울 게 없어 저가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회나 관공서 차량들이 저렴한 주유소 대신 비싸지만 편리한 주유소를 찾는다는 점 역시 일부 주유소들의 ‘고가 정책’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국회의원들의 경우 유류비를 국고에서 지원받기 때문에 기름값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이서혜 소비자시민모임 석유시장감시단 팀장은 “국회의원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고가 주유소의 영업을 도와주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8-0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