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설 낙찰률 해마다 ‘뚝뚝’

공공건설 낙찰률 해마다 ‘뚝뚝’

입력 2012-11-30 00:00
업데이트 2012-11-3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설협회 “7년동안 2.7%P 하락” 적용대상 공사 규모 증가 등 원인

최근 7년 동안 국내 공공건설 공사의 낙찰률이 2.7% 포인트 하락하고 공사 이윤율도 4분의1로 떨어졌다.

대한건설협회는 29일 공공공사 낙찰률이 2005년 82.9%에서 지난해에는 80.2%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건협은 낙찰률 하락 원인을 2006년 말 최저가 낙찰제 적용 대상공사가 500억원 이상 공사에서 300억원 이상 공사로 확대된 데다 90%대를 유지하던 턴키대안공사 낙찰률이 2010년 이후 80%대로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낙찰률 하락은 공사 수주 경쟁이 치열하고 건설사들의 수익성은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를 반영, 공사 이윤율도 크게 떨어졌다. 건협이 3억원 이상 완성공사의 원가를 분석한 결과, 2007년 이윤율은 8.3%였지만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해에는 2.2%에 그쳤다.

발주기관별 낙찰률은 적격심사 공사의 비중이 큰 지방자치단체는 84.4%로 지난해 유일하게 80%를 넘었다. 중앙정부 발주 공사는 79.1%, 공공기관 발주 공사는 78.6%, 지방 공기업 발주 공사는 77.2%에 각각 머물렀다.

공사 규모로는 지난해 100억원 미만 공사의 낙찰률이 87.0%로 가장 높았고 100억~300억원 공사가 82.2%, 300억~1000억원 공사가 77.0%, 1000억원 이상 공사가 76.6%로 집계됐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2-11-30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