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전쟁터’서 살아남는 방법은 정도경영”
“주식 투자는 대주주와 동업자가 되는 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정치 테마주처럼 ‘묻지마 투자’는 어렵겠죠. 주인의식을 갖고 주식시장을 바라보면 투자 기준이 명확해집니다.”조강래 IBK투자증권 사장이 2일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사양산업은 있어도 사양기업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조강래(56) IBK투자증권 사장은 1986년 동남증권(현 하나대투증권)에 사원으로 입사했다. 입사 때부터 최고경영자(CEO)가 되겠다는 꿈을 키웠다. 산은자산운용, BNG증권 등 CEO만 벌써 네 번째다. 얼마 전 IBK투자증권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삼덕빌딩(구 동남증권)에 새 둥지를 틀었다. 공교롭게 조 사장이 증권업계에 처음 발을 내디뎠던 바로 그 건물이다.
“감회가 정말 새롭다”는 조 사장은 장수 CEO의 비결을 묻자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주인의식”이라고 답했다. 평소 임직원들에게 “각자의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 곧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길”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해온 그다.
말 속에 자신감이 뚝뚝 묻어나지만 현실인식만큼은 냉정했다. 조 사장은 올해 금융시장을 “전쟁터”라고 표현했다. “다른 금융권도 그렇겠지만 증권업계는 특히 (출혈 경쟁이 우려되는) 레드 오션입니다.”
하필 신사옥도 ‘금융 1번지 한복판’이라는 조 사장은 “블루 오션은 신기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경쟁자가 없는 시장은 아주 잠시일 뿐이고, 설사 있다 해도 리스크가 크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그는 블루 오션이란 말을 믿지 않는다.
레드 오션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정도 경영”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가 지난해 증권업과 무관한 사업들을 정리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우선 고임금 인력들이 몰려 있는 트레이딩센터를 과감히 없앴다. 투자 수익으로 큰돈을 벌려 하기보다는 중개(브로커리지) 수익으로 기초체력을 다져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우리 회사의 체격에 맞게 몸집을 줄인 거지요. 투자업으로 돈을 벌 거면 일반법인을 세워서 해도 됩니다. 증권사 면허를 가진 이상 본업에 충실해야지요.”
이는 직원 복지에도 그대로 적용됐다. 직원들에게 체력단련비로 주던 1인당 10만원을 없앴다. 대신 모든 직원에게 상해보험을 제공했다. 주말 연휴 때 직원들이 이용 가능한 콘도도 구입했다. 일각에서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조 사장은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게 복리후생의 본질”이라며 밀어붙였다.
그 결과, 지난해 상반기 34억 7000만원 흑자를 냈다. 하반기에도 흑자가 예상된다. 지난해 주식시장 전체 거래대금이 전년 대비 29%나 급감한 점이나 재작년 93억원의 적자를 냈던 것에 비춰 보면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다. 무엇보다 2년 연속 적자에서 탈출했다.
지난해 6월 취임하자마자 분기 실적을 흑자로 돌려놓은 그는 “새해에도 증시 여건이 좋지 않아 자랑할 겨를도 없다”며 웃었다.
“CEO 10년에 터득한 지론은 ‘사양산업은 있어도 사양기업은 없다’는 겁니다. 차별화된 경쟁력만 갖추면 전쟁터에서 충분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그는 세 가지를 강조했다. ▲온라인 거래 특성화 ▲금융상품 판매를 위한 직원 교육 강화 ▲금융 신상품 개발이 그것이다.
조 사장은 “중남미와 동남아 등 해외 이머징 마켓도 공략할 방침”이라면서 “인도네시아 진출을 위해 현지 회사 인수합병(M&A)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새 정부를 향한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강한 규제 때문에 장사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은행과 보험에 비해 증권업 규제가 심한 편입니다. 최소한 업권 간 균형은 맞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게 되면 증권업이 더 빨리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 겁니다.”
글 사진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01-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