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은 엔저 현상 지속에 따른 일본 노선 승객 감소로 일부 노선 항공편의 운항 횟수를 줄이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10월 초부터 인천~센다이 노선을 주 7회 운항에서 주 4회로 감축한다. 또 인천~시즈오카 노선은 주 7회에서 주 5회로 줄인다. 이는 수요 감소에 대응해 공급을 조절하는 조치로, 10월 말부터 시작하는 동계 스케줄 변경과는 무관하다.
아시아나항공의 7~8월 일본 노선 탑승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감소했다. 이 기간 일본에서 한국을 다녀간 승객은 32만 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8% 줄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엔저 현상의 여파가 가장 컸고 북한리스크와 한·일관계 경색 같은 요인도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엔저 현상으로 7~8월 한국발 일본행 승객은 20만 5000명으로 2.4% 증가했다.
이런 상황은 대한항공도 비슷하다. 대한항공은 7월 한·일 노선 수송 인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 감소했고, 8월에는 1년 전보다 5.7% 줄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아시아나항공은 10월 초부터 인천~센다이 노선을 주 7회 운항에서 주 4회로 감축한다. 또 인천~시즈오카 노선은 주 7회에서 주 5회로 줄인다. 이는 수요 감소에 대응해 공급을 조절하는 조치로, 10월 말부터 시작하는 동계 스케줄 변경과는 무관하다.
아시아나항공의 7~8월 일본 노선 탑승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감소했다. 이 기간 일본에서 한국을 다녀간 승객은 32만 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8% 줄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엔저 현상의 여파가 가장 컸고 북한리스크와 한·일관계 경색 같은 요인도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엔저 현상으로 7~8월 한국발 일본행 승객은 20만 5000명으로 2.4% 증가했다.
이런 상황은 대한항공도 비슷하다. 대한항공은 7월 한·일 노선 수송 인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 감소했고, 8월에는 1년 전보다 5.7% 줄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3-09-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