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하수 속 자연 방사능에 의한 암 집단발병 가능성 제기된 가운데 오염 지하수로 만든 가공식품이 다른 지역으로 유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류지영(새누리당) 의원은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지하수 방사능 오염 조사결과를 근거로, 주류 등 지하수를 사용하는 가공식품의 자연 방사능 오염 가능성을 제기했다.
앞서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전국 마을 상수도의 지하수원수 3천247건 중 133건(4.1%)에서 우라늄이, 493건(15.1%)에서 라돈이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특히 괴산지역에서는 104개 음용 지하수 가운데 17곳(16.3%)에서 라돈이, 2곳(1.9%)에서 우라늄이 초과 검출됐다.
류 의원은 “자연방사성물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와 특별조사가 이뤄진 일부 지역의 가공식품 용수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류 의원은 “주류 등 가공식품 안전관리 기관인 식약처가 환경부의 비협조를 이유로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며 “식약처가 두 부처 사이 칸막이를 조속히 제거, 합동조사를 추진하고 자연방사선물질에 대한 가공식품 기준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류지영(새누리당) 의원은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지하수 방사능 오염 조사결과를 근거로, 주류 등 지하수를 사용하는 가공식품의 자연 방사능 오염 가능성을 제기했다.
앞서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전국 마을 상수도의 지하수원수 3천247건 중 133건(4.1%)에서 우라늄이, 493건(15.1%)에서 라돈이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특히 괴산지역에서는 104개 음용 지하수 가운데 17곳(16.3%)에서 라돈이, 2곳(1.9%)에서 우라늄이 초과 검출됐다.
류 의원은 “자연방사성물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와 특별조사가 이뤄진 일부 지역의 가공식품 용수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류 의원은 “주류 등 가공식품 안전관리 기관인 식약처가 환경부의 비협조를 이유로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며 “식약처가 두 부처 사이 칸막이를 조속히 제거, 합동조사를 추진하고 자연방사선물질에 대한 가공식품 기준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