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 종사자 30% 월급여 400만원 이상<통계청>

금융업 종사자 30% 월급여 400만원 이상<통계청>

입력 2013-10-30 00:00
수정 2013-10-30 1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림어업 월 100만원 이하 58%…업종간 대비 뚜렷

금융·보험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종 근로자 10명 중 3명꼴로 월 임금이 400만원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림어업 부문은 월 급여 100만원 이하인 종사자가 절반을 넘었다.

통계청은 30일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주제로 이런 내용의 2013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월 100∼200만원 급여생활자 가장 많아

올해 4월 기준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산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산업 전체의 임금수준 분포는 월 100∼200만원 미만이 38.3%로 가장 많고 200∼300만원 미만이 24.1%로 뒤를 이어 전체 임금 근로자의 62.4%가 100∼30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100만원 미만의 임금근로자도 13.5%를 차지했다.

월 300∼400만원 미만은 12.3%, 월 400만원 이상은 11.8%였다.

월 400만원 이상 고임금 근로자가 가장 많은 산업 분야는 금융·보험업으로 30.2%를 차지했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이 29.5%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고,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24.2%),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19.5%) 등도 비교적 고임금 근로자 비중이 다른 분야보다 컸다.

반면 농림어업 분야는 월 100만원 미만 임금 근로자가 58.0%로 절반을 넘었다. 농림어업 종사자 가운데 월 400만원 이상 급여 생활자는 3.5%에 불과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분야도 월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가 33.3%로 다른 분야보다 비중이 컸다.

◇건설업 92% 남성 고용…여성은 보건·사회복지 많아

4월 기준 전체 취업자 2천510만3천명을 산업 대분류별로 살펴보면 제조업(16.7%), 도매 및 소매업(14.3%), 숙박 및 음식점업(7.7%)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성별 취업자 비율을 보면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건설업은 92.2%에 달했고 운수업(90.6%),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73.0%) 등도 남성 비율이 높았다.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81.4%로 가장 높고 교육서비스업(66.4%), 숙박 및 음식점업(65.4%) 등도 여성이 다수를 차지했다.

76개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 규모를 살펴보면 소매업(자동차 제외)이 217만1천명(8.6%)으로 임금근로자가 가장 많고, 이어 음식점 및 주점업(180만명, 7.2%), 교육서비스업(172만7천명, 6.9%) 등의 인원도 많았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으로 76.4%였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2.6%),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0.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무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금융 및 보험업(52.2%),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6.1%) 부문이 높게 나타났다.

단순노무종사자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49.0%)이 가장 많았다.

◇관리자 69% 월 400만원 이상…단순노무 91% 월 200만원 미만

산업이 아닌 직업(대분류)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취업자 비율을 비교해 보면 관리자 중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88.9%로 여성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7.0%)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85.9%) 등 기술 관련 분야도 남성 비중이 컸다.

서비스 종사자 가운데서는 여성이 66.2%로 남성보다 많았다.

직업 대분류별로 임금 수준을 살펴보면 관리자가 월 400만원 이상 임금을 받는 비율이 68.6%로 가장 높고, 그 외 직업에서는 월 100∼200만원 미만 비율이 높았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사무종사자는 월 300만원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각각 39.7%, 36.2%였다.

반면 단순노무종사자는 월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가 91.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