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경기침체 탓에…뒷걸음친 서민 행복

가계부채·경기침체 탓에…뒷걸음친 서민 행복

입력 2013-12-04 00:00
업데이트 2013-12-04 1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도 줄어, 여가 수요는 증가

가계부채의 증가와 경기 침체로 우리 국민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19세 이상 가구주 가운데 1년 전보다 가구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자가 26.1%에 달해 ‘증가했다’는 비율(16%)을 압도했다.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줄었다.

국민의 행복지수가 추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체감 살림살이 2년 전보다 ‘후퇴’

4일 통계청이 낸 ‘2013년 사회조사’ 결과의 소득과 소비 부문을 보면 1년 전보다 소득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16.6%, 동일하다 57.2%, 감소 26.1%로 조사됐다.

2011년 조사 때의 증가(18.1%), 동일(56.7%), 감소(25.2%)보다 악화했다. ‘동일’이나 ‘감소’가 실질 소득의 축소라는 측면에서 볼 때 국민의 소비여력은 더욱 줄어든 셈이다.

특히 50대 가구주 가운데 가구소득이 줄었다는 비율은 31.7%에 달했다.

1년새 부채가 증가했다는 응답은 27.3%에서 24.1%로 줄어들고 감소했다는 답변은 10.8%에서 11.2%로 늘었다.

부채 증가는 30대(34.7%)와 40대(32.4%)에서 두드러졌다.

19세 이상자 중에 소득이 있다는 응답은 76.4%로 2년전보다 4.1% 늘어 일하는 근로층이 확대됐음을 보여줬다. 성별로는 남자 88.5%, 여자 64.9%가 소득이 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84%로 가장 많고 50대(81.4%), 30대(78.3%) 순이다. 20대는 61.7%로 가장 적어 최근의 청년 실업난을 실감케 했다.

현 소득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12.1%에 불과했다. 불만족층이 49%나 됐다. 2년전 결과와 비슷하다.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 이상의 불만족도가 50.8%, 56.8%나 됐다.

내년에 집안 살림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가구주는 23.6%였다. 그나마 2년전 조사 때보다 1.5%포인트 감소했다. ‘변화없음’은 53.5%, ‘악화’ 22.9%다.

현재의 소비생활에 만족한다는 목소리는 13.6%로 소폭(0.9%포인트) 늘었지만 불만족(39.6%)이라는 응답이 3분의 1수준이다. 자녀교육비나 혼례비용이 많이 필요한 50대와 60대의 불만족 비율이 각각 42.1%, 45.7%로 높았다.

집안 살림이 어려워지면 소비를 줄여야 할 지출항목으로는 외식비(46.7%), 식료품비(36.9%), 의류비(28.5%) 등을 많이 꼽았다.

◇ ‘여가 수요 급증’…독서인구·레저활동은 늘어

책 읽는 인구가 늘고 있다. 1년간 독서인구 비율은 62.4%로 2011년(61.8%)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1인당 평균 독서권 수는 17.9권으로 2년전(20.8권)보다 줄었다.

성별로는 여성 독서인구(63.3%)가 남성(61.5%)을 능가했고 연령별로는 10대가 80.9%로 가장 많았다.

서적별로는 교양서적(68.9%), 잡지(42.9%), 직업서적(33.9%) 등 순이다.

신문을 보는 비율은 75.6%에서 72.6%로 감소했다. 그나마 일반신문(56.4%)보다 인터넷신문(81.5%)을 구독하는 비율이 높았다.

성별로는 여자보다 남성이, 소득기준으로는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신문을 읽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간 레저시설을 이용한 사람은 65.8%에서 71.4%로 늘었다. 주로 관광명소(71.4%), 해수욕장(34.7%), 놀이공원(32.7%), 온천장(31.2%) 등의 이용객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도시민 비율(72.6%)이 농어촌지역민(66%)보다 높았다.

1년간 공연, 전시, 스포츠 등을 관람한 사람은 63.4%로 2011년에 견줘 4.8%포인트 증가했다. 주로 영화(85.9%), 박물관(25.8%) 등이 많았다. 연평균 관람횟수는 8.9회다.

20대는 문화 예술 및 스포츠 관람비율이 86.4%나 됐다.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활용 방법은 ‘TV 및 DVD 시청’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59.9%라는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휴식은 37.5%, 가사일은 28.2%다.

주말 또는 휴일 여가활동을 함께하는 사람으로는 가족(54.4%)이 가장 많았다. ‘혼자’ 즐기는 사람은 2년전 16.8%에서 19.5%로 증가했다. 특히 40대 이후 연령대가 높을수록 혼자 보내는 비율이 높아져 ‘황혼 고독’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하고 싶은 여가활동으로는 여행(46.9%)을 가장 많이 꼽았고 문화예술관람(9%), 스포츠활동(8.4%), 자기개발(6.3%) 등이 뒤를 이었다.

여가활동의 만족 여부는 만족(27.1%)과 불만족(25.1%)이 비슷했다. 불만족의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57.7%), ‘시간부족’(21.1%) 등이 많았다.

국내 관광을 즐긴 사람은 67.1%인데 월평균 가구소독이 200만원 미만인 경우는 1인당 숙박여행 횟수가 1회를 못 넘겼다.

해외 여행을 다녀온 사람은 17.2%로 2년전보다 1.3%포인트 늘었다. 목적별로는 관광(77.1%), 업무(17.3%), 가사(10.8%) 등 순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