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시장 창출·조직 재정비 등 산적

신규시장 창출·조직 재정비 등 산적

입력 2013-12-17 00:00
업데이트 2013-12-17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T 황창규호 과제는

신임 KT 최고경영자(CEO) 최종 후보로 선정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은 반도체 분야에서는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KT 내외부에서는 통신 비전문가인 황 전 사장이 차기 KT CEO 최종 후보로 낙점된 데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KT CEO추천위원회는 16일 황 전 사장을 CEO 최종 후보로 선정하면서 “황 전 사장이 지식경제부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장 등을 맡아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다양한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서 “그가 이런 강점을 바탕으로 KT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 KT의 경영을 본궤도에 올려놓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KT 내외부에서는 황 전 사장이 통신 관련 지식과 경험이 없다는 점을 이유로 부적절한 선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황 전 사장이 삼성전자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황 전 사장이 KT CEO로 최종 선정될 경우 이동통신사인 KT가 네트워크 장비 등을 제조하는 삼성전자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추천위가 황 전 사장을 낙점한 것은 최근까지 끊이지 않았던 ‘낙하산 논란’을 피하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나온다. 황 전 사장은 CEO 후보 추천 과정에서 주요 후보로 꾸준히 언급됐으나 최종 면접 단계에서는 임주환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등이 강력한 최종 후보로 언급됐다. 그러나 임 전 원장 등은 박근혜 대통령 대선 캠프 활동 등으로 낙하산 논란이 일었다.

황 전 사장은 회장으로 취임하자마자 이석채 전 KT 회장 사퇴 이후 침체된 조직 분위기를 추스르고 롱텀에볼루션(LTE) 시장에서 떨어진 경쟁력을 회복하는 동시에 해외 사업 등 신규 시장을 창출해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떠안게 된다. KT 안팎에서는 신임 회장의 첫 과제로 조직 재정비와 ‘낙하산 근절’을 꼽고 있다.

최종 후보 낙점 이후 황 전 사장은 “창의와 혁신, 융합의 KT를 만드는 데 일조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어려운 시기에 막중한 업무를 맡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글로벌 신시장을 개척했던 경험을 통신산업으로 확대해 미래 ICT 사업을 창출하고 창의와 혁신, 융합의 KT를 만드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12-17 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