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절반만 FTA 활용…정보부족이 문제”

“국내 기업 절반만 FTA 활용…정보부족이 문제”

입력 2013-12-26 00:00
업데이트 2013-12-26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부, 400개 업체 설문…적극적 홍보 절실

정부가 통상개방 기조 속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올 인’하고 있지만 정작 국내 기업의 FTA 활용 실적은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직접수출기업 105개, 협력기업 295개 사 등 총 400개 업체를 대상으로 FTA 활용 빈도를 조사한 결과 직접수출기업의 64.8%, 협력기업의 30.3%만 FTA 원산지 증명서·확인서 발급 실적이 있었다.

평균적으로 국내 기업의 절반 정도만 FTA를 활용하는 셈이다.

이들 역시 해외 바이어나 수출기업의 요청으로 마지못해 FTA를 활용하는 등 수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조사 대상 업체의 절반은 정부의 FTA 활용 지원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 대책이 긴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FTA를 활용하려 할 때 가장 애로점으로 수출기업의 24.2%, 협력기업의 26.3%가 정보 부족을 꼽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수출기업은 이외에 사후검증 부담(17.4%), 전문인력 부족(14.2%), 원산지 관리 어려움(11.4%), 해외시장 개척의 어려움(10%) 등을 주요 애로로 꼽았다.

반면에 협력기업은 동기 부족(15.8%), 해외시장 개척의 어려움(14.5%), 전문인력 부족(13.2%) 등의 순이었다.

한편, 올해 한-미 FTA 활용률(FTA 수혜 품목 가운데 실제 FTA를 활용한 비율)은 69.2%로 FTA 발효 원년인 작년(68.9%) 대비 7.5%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작년 74.8%에서 올해 84.5%로, 중소기업은 68.9%에서 76.4%로 각각 증가했다.

다만 올해로 3년차를 맞은 한-EU(유럽연합) FTA 활용률은 작년 81.4%에서 올해 80.9%로 소폭 하락했다. 대기업은 84.3%로 작년보다 0.8%포인트 줄었으나 중소기업은 2.9%포인트 증가한 76.4%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