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등 경제 선진국 부활… 황제가 돌아온다

美·日 등 경제 선진국 부활… 황제가 돌아온다

입력 2013-12-30 00:00
업데이트 2013-12-30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硏 선정 ‘2014 글로벌 10대트렌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경제의 부활, 세계 경제회복을 더디게 하는 유럽 및 일부 개도국의 위기, 셰일가스 등 비(非) 전통 에너지 혁명에 따른 에너지 패권 변화 등이 내년 글로벌 경제를 관통할 주요 트렌드로 꼽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9일 경제를 포함한 정치·외교, 산업·경영, 과학기술, 사회·문화 분야의 ‘2014년 글로벌 10대 트렌드’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전망했다.

보고서는 세계 경제위기의 진원지였던 미국, 유로존,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이 강력한 양적완화 등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점쳤다. 이들 국가가 글로벌 경제 주도권을 되찾을 것이라며 이를 “황제의 귀환”으로 표현했다.

이에 반해 신흥국은 자금 조달과 수출 여건이 불리해질 것으로 봤다. 또한 유럽 재정위기국의 은행부실화와 선진국 출구 전략에 따른 개도국의 외환위기 가능성이 세계 경제회복을 위협하는 ‘그레이 스완’(Grey Swan)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연구원은 또한 북미지역의 비전통 에너지 생산 확대로 에너지 헤게모니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중동 및 러시아에서 미주지역 등으로 분산될 것으로 봤다. 이는 에너지 공급선 다변화 및 가격 하향 안정화 등 향후 에너지 시장과 세계 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됐다.

정치·외교 부문에선 중국의 부상 등으로 인해 미국의 세계 경찰 지위가 약해져 각지에서 영토와 자원을 둘러싼 지역분쟁이 지속돼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의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산업·경영의 경우 ‘세계 공장’으로서의 중국 역할이 약화하는 한편 ‘포스트 차이나’ 국가들이 각축을 벌여 세계 제조업 지형도가 개편될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3-12-30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