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영업시간 조정에 중고령자 직원 활용해야”

“은행권, 영업시간 조정에 중고령자 직원 활용해야”

입력 2015-12-27 10:22
업데이트 2015-12-27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중은행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탄력적으로 근무시간을 운영하는 등 영업시간을 다양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임금피크제 등으로 늘어난 중고령자 은행원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금융학회는 지난 10월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 제출한 연구용역보고서인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고용개선 방안 연구’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연구를 진행한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부 교수와 남재현 국민대 경제학과 교수는 2014년 기준으로 은행업종의 임금피크제 도입률이 75%로 다른 업종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를 도입할 때 준비가 부족하다 보니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이후 맡게 되는 직무는 낮은 수준이고 이전 직무와의 연계성도 떨어지는 형편이다.

은행권에서 임금피크제로 시행하는 직무는 내부통제(지점 감사), 연체관리, 심사소송대리, 문서서류관리, 법원출장, 전문감리, 담보평가, 컨설팅, 교육업무, 상담, 카드채권 사후관리 등이다.

또 임금피크제 기간의 평균 임금지급률도 직전 임금의 50∼60% 수준으로 제조업이 기존 직무를 유지하면서 직전 임금의 80∼90% 수준을 받거나 일정 연령에서 동결되는 것과 대조를 보인다.

그러다 보니 사측은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인건비 감소 수단으로만 바라보고 인력 관리를 효율화할 방안을 고민하지 않는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예컨대 중고령자 전문 직무군을 운영하거나 직무형태도 근무시간 축소, 파트타임, 재택근무를 통해 업무의 효율화와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며 “중고령 인력 친화적인 인적자원관리 체계에 대한 기업의 고민과 노력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런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중고령 은행원들의 역량을 은행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먼저 국내은행 점포의 영업력을 높이기 위해 영업시간과 영업일을 조정하거나 대형마트 등에 개설하는 인스토어 점포를 보급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점포 이용률을 높여야 하는데, 여기에 탄력적 근무시간이나 교대 근무제, 시간선택제 근로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봤다.

연구진은 “이 경우 은행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중고령자들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며 “명예퇴직하거나 은퇴하는 은행 근로자들은 시간제 근무를 통해 근로를 계속하고자 하며, 기존의 노하우로 직장인을 상대로 영업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앞으로 금융산업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장기적으로 사원들의 교육·훈련 등 준비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여기에는 외부 교육기관과의 연계, 교육투자나 인력 육성에 대한 인식 전환 등 노력이 필요하다며 그 가운데 하나로 임금피크제와 관련한 중고령 은행원의 경험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고객관계관리(CRM), 기업금융 전담역(RM), 자산관리 전문가(PB) 등의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이들을 활용하거나 은퇴하는 베이비부머에 대한 상품·서비스 개발과 영업 등에 이들이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인력풀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외부노동시장을 통해서만 전문인력을 충원하면 비용만 높아질 수 있다”며 “외부 전문가 못지않게 20∼30년간 은행에서 숙련된 중고령 은행원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진은 인력 운영의 개선 외에도 은행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발벗고 나서야 할 방향으로 고령화 추세에 맞춘 새로운 영업 전략을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퇴직연금·연금신탁 등의 영업 외에도 고령화에 따라 부동산 가격의 하향 안정세, 저금리 환경 등이 전망되는 만큼 비이자부문을 강화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기업의 자금수요가 줄어들고 가계대출도 포화상태인 만큼 중소·벤처기업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삼는 금융에 나서야 하며, 해외 진출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