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빚 갚는데 쓴 돈’ 급증…“소비둔화 요인”

금융위기 후 ‘빚 갚는데 쓴 돈’ 급증…“소비둔화 요인”

입력 2016-02-28 11:10
업데이트 2016-02-28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고소득층이 증가폭 더 커

국내 적자가구들이 소득 중에서 빚을 갚는 데 사용하는 돈의 비중이 급격히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소비를 주도해야 할 고소득층에서 이런 현상이 더 두드러져 내수 위축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내 적자가구의 가계수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임 연구위원은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국내 적자가구를 대상으로 소득대비 부채차입 비율과 부채상환 비율을 분석했다.

우선 소득에서 부채상환에 쓰는 돈의 비율은 2001년 26.5%에서 2014년 42.1%로 13년 새 15.6%포인트나 상승했다.

특히 2001년부터 2009년까지 8년간은 5.2%포인트가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10.4%포인트가 올랐다.

임 연구위원은 “금융위기 이후 빚을 갚아야 한다는 압박감이 심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소득 가구보다는 고소득 가구에서 상승 폭이 더 컸다.

소득 상위 20%인 고소득층에서는 소득대비 부채상환비율이 2009년 37.6%에서 2014년 45.4%로 금융위기 이후 7.8%포인트 올랐다.

반면 하위 20%인 저소득층은 같은 기간 34.1%에서 36.6%로 2.5%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중간소득층은 30.7%에서 42.1%로 11.4%포인트 높아졌다.

임 연구위원은 “중산층이나 고소득층이 금융위기 이후 부채 상환에 더 많이 매달렸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돈을 써야 하는 계층에서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셈”이라며 “부채상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체 적자가구의 소득대비 부채차입 비율은 2009년 10.0%에서 2013년 14.9%까지 상승했으나, 2014년 다시 11.1%로 하락했다.

다만 상위 20% 고소득층의 소득대비 부채차입 비율은 2009년 10.4%에서 2014년 17.8%로 7.8%포인트 올랐다.

이는 하위 20% 저소득층이 같은 기간 13.9%에서 10.2%로 떨어진 것과 상반되는 결과다.

이는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고소득층이 부동산 마련을 위해 대출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임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한편, 적자가구의 품목별 소비 비중을 보면 2014년을 기준으로 교통비의 비중이 18.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식료품(12.3%), 교육(11.9%), 음식·숙박(11.1%), 주거·수도(10.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임 연구위원은 “2009~2014년 식료품이나 주거·수도 품목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4.6%와 3.2%로, 소비자물가 평균치인 2.4%를 웃돌고 있다”며 “이 역시 소비 활성화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