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여성, 전국 여성보다 키↑ 몸무게·허리 둘레↓“

서울여성, 전국 여성보다 키↑ 몸무게·허리 둘레↓“

입력 2016-03-28 10:10
업데이트 2016-03-28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보공단, 국가건강검진 신체 계측 데이터 공개

서울에 사는 여성은 키는 크고 몸무게와 허리 둘레는 상대적으로 작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세 이상 일반 건강검진 및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자 자료를 분석해 공개한 ‘국가건강검진 신체계측 데이터’에서 이같이 밝혔다.

데이터는 2013~2014년에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수검자 1천870만명과 2014년에 검진받은 영유아 210만명의 자료를 사용해 신장, 체중, 허리 둘레 등의 분포 내용을 분석했다.

미숙아와 암·희귀난치성질환자와 같이 신체 계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검진 내역은 분석에서 제외했다.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 중 키가 160㎝ 이상인 여성의 비율은 38.1%였다. 이는 전국에 있는 전체 여성 중 키가 160㎝ 이상인 비율(33.8%)보다 높았다.

반면 몸무게가 60㎏ 이상인 여성의 비율을 보면 서울 거주 여성은 32.4%로, 전국(34.0%)보다 낮은 편이었다.

허리 둘레가 80㎝ 이상인 여성은 서울 여성의 32.7%를 차지해 전국(35.3%)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신체계측 데이터를 살펴보면 12개월 남아의 평균 신장은 77.1(±11.4)㎝, 체중은 10.3(±1.5)㎏, 머리 둘레는 46.4(±1.3)㎝로 파악됐다.

같은 개월 수인 12개월 여아의 평균 신장은 75.5(±9.8)㎝, 체중은 9.6(±1.3)㎏, 머리 둘레는 45.2(±1.3)㎝로 남아보다 체격이 작은 편이었다.

공단은 성인의 신체 계측 현황에 대해 ‘참조표준’ 등록을 준비할 계획이다. 참조표준은 공산품의 ‘KS마크’와 같이 국가 인증이 부여된 데이터를 뜻한다.

공단은 “그동안 선진국에 의존했던 표준 데이터를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생산해 산업 분야의 데이터 생성 비용 및 중복 투자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국가건강검진 신체계측 데이터는 국민건강보험 자료공유 서비스(http://nhiss.nhis.or.kr/데이터신청/국가건강검진신체계측D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