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가구 부채 전체의 7%…자영업자, 한계기업도 치명타
금융팀 = 미국의 금리 상승으로 시장금리가 뛰면서 이미 빚의 덫에 빠진 가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대출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이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기준 금리라도 오르면 가뜩이나 힘든 한계 차주나 자영업자에게는 치명타가 될 가능성이 있다.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의 4월 금융통화위원회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현재로썬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1천300조원을 훌쩍 넘은 가계부채가 한은으로서는 큰 부담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가계부채 문제 때문에 한은이 통화정책을 사용하기는 현 단계에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내외 금리 차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 탓에 인상 결정이라도 내리면 빚더미에 앉은 가구는 빚의 덫에 걸려 옴짝달싹 못 하게 될 수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원리금 상환비율(DSR)이 40%를 넘고 부채가 자산평가액보다 많은 고위험가구 부채는 전체 가계부채의 7%인 62조원에 이른다. 금액으로 전년보다 33.6%(15조6천억원) 급증했다.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저신용(7-10등급)이나 저소득(하위 30%)자인 취약차주의 대출액은 작년 말 78조6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6.2%에 이른다.
금리가 오르면 당장 급한 건 자영업자들이다.
한은이 발간한 ‘국내 자영업의 폐업률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0.1% 포인트 오르면 폐업위험도가 7∼10.6% 오른다.
업종별로는 음식·숙박업의 폐업위험도가 10.6% 상승, 금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중년층이 직장에서 은퇴한 후 많이 차리는 치킨집과 소규모 식당이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에서 비임금근로자(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는 2015년 기준 671만명으로, 이들이 국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9%다.
정도가 덜하지만, 기업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기업 중에는 철강, 조선 등 취약업종ㅡ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금리 인상에 취약하다.
한은의 ‘금리 상승 시 이자보상배율 변화 추정 보고서’를 보면 올해 기업의 연평균 차입금리가 작년보다 1.5%포인트 상승했다고 가정할 때 영업활동으로도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 비중이 28.8%에서 33.4%로 증가한다.
성 교수는 “실물경기가 회복돼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늘어나지 않는 한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실물경기 회복 전까지는 위기가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