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1주년 앞두고…‘채용비리’에 꺾인 이광구 우리은행장

민영화 1주년 앞두고…‘채용비리’에 꺾인 이광구 우리은행장

입력 2017-11-02 14:37
업데이트 2017-11-02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금회’ 논란 속 취임…채용비리 의혹으로 불명예 퇴임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민영화 1주년을 앞두고 채용비리 의혹에 전격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우리은행 앞에 놓인 각종 과제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 행장은 이날 오후 전체 임직원에게 보낸 메일을 통해 “2016년 신입 행원 채용 논란과 관련 도의적 책임을 지겠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 행장은 1979년 우리은행의 전신인 상업은행에 입행해 2014년 12월부터 우리은행장을 맡았다.

그러나 이 행장은 취임 때부터 당시 박근혜 정부와 가까운 서금회(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에 소속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이 행장은 지난해 우리은행의 숙원 사업이던 민영화에 성공했고, 그 덕분에 올해 초 2년 임기로 연임에도 성공했다. 오는 13일이 우리은행 민영화 1주년이다.

하지만 행장으로 있는 내내 은행 내부에서는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간 계파 갈등이 계속됐다.

우리은행은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탄생한 은행이다. 두 은행이 합쳐지다 보니 내부에서는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들 간 갈등이 불거졌다.

최근에는 상업은행 출신들이 연속해서 행장에 올랐고, 이 행장이 연임 후 임원을 세울 때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을 동수로 세우던 관례도 깨겠다고 밝히면서 한일은행 홀대론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최근에는 이 행장이 지주사 전환에 성공하면 지주 회장에까지 오를 것이란 이야기가 계속 나왔다.

이 때문에 이 행장은 지난달 10일 추석 연휴 직후 임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임기 내 지주사 전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싶을 뿐 지주사 회장을 생각하지 않는다”며 임원들을 달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달 국감에서 우리은행 채용비리 의혹이 터지면서 결국 은행장에서 물러나게 됐다.

이 행장이 사퇴함에 따라 우리은행이 추진하던 정부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추가 매각과 지주사 전환이라는 과제도 당분간 미뤄지게 됐다.

이 행장은 올해 초 연임과 함께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 18.78% 매각과 지주사 전환을 추진했다.

하지만 우리은행은 당분간 이런 사업을 추진하기보다는 채용비리 의혹 파문을 매듭지고서 후임 행장을 세우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한편 이 행장이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 우리은행은 상법상 대행 체제를 세울 수 없어 당분간은 이 행장이 법적 지위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현재 우리은행 사내이사와 대표이사는 이 행장이 유일하다.

상법 제386조에 따라 사임 의사표시를 한 대표이사는 후임 대표이사가 취임할 때까지 그 권리 의무가 있다.

이 때문에 우리은행 이사회는 이날 오후 긴급 회동을 하고 이 행장의 사퇴 수락 여부와 후속 대책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