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저점 또 경신… 1095.8원 마감
美 약달러 선호 등 하락세 전망원화강세 지속땐 경기회복 찬물
원·달러 환율이 지난주에 이어 21일 다시 1100원 선을 깨고 내려갔다. 1095.8원으로 지난해 9월 이래 1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환율이다. 내년에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해 원화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원화 강세는 유가가 상승하는 가운데 수입 물가가 하락하는 긍정적인 요인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내년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달러 가치 사이클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약달러 선호, 북핵 리스크 완화 등을 이유로 원화 강세를 예상했다. 달러 가치는 10년 동안 약세를 보이다가 6년간 강세로 이어지는 사이클을 보이므로, 올해부터 달러가 약세를 탄다는 분석이다. 무역 적자를 줄이려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조업체의 수출 경쟁력을 위해 ‘강한 달러’를 원치 않는다는 점도 꼽혔다. 또 최근 북핵 리스크가 완화되고, 외국인 자금 유입이 재개돼 ‘원화 강세론’에 힘이 실렸다.
‘원화 강세론’은 해외에서도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이 투자은행(IB)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원·달러 평균환율은 올해 4분기 1140원에서 내년 3분기 1125원으로 내려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원화 강세가 지속하면 수출 주도의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산업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 하락하면 국내 제조업체의 영업이익률이 0.05% 포인트 떨어진다고 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환율이 10% 하락하면 경제성장률이 0.72% 포인트 낮아진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소는 “우리 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원·달러 환율은 1183.9원인데, 원화가 고평가된 상태”라며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비가격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7-11-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