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육아·출산이 가장 큰 원인
결혼한 30대 여성 3명 중 1명은 경력단절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출산·육아가 가장 큰 원인이다. 그나마 이러한 경력단절여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게 다행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29/SSI_2017112918042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29/SSI_20171129180428.jpg)
연령별로는 30대가 92만 8000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59만명(32.6%), 50대와 20대 이하 각 14만 7000명(8.1%) 등의 순이었다. 경력단절이 가장 심각한 계층도 30대다. 30대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도 33.8%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 이하 31.6%, 40대 15.4%, 50대 7.3% 등이다.
다만 2014년 4월 기준 22.4%였던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2015년 4월 21.8%, 2016년 4월 20.6% 등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시간제 일자리가 증가한 관련 통계 등에 비춰보면 육아나 가사 등과 병행할 수 있는 직장에 기혼여성 취업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경력단절의 주된 원인으로는 결혼(34.5%), 육아(32.1%), 임신·출산(24.9%) 등이 꼽혔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는 임신·출산(38.0%)으로 인한 경력단절이 많았고 30대는 육아(36.5%) 때문에 일을 그만둔 사례가 많았다.
경력단절 기간은 5년 이상 10년 미만이 2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20년 22.2%, 1∼3년 18.4%, 3∼5년 14.7%, 1년 미만 11.7%, 20년 이상 9.6% 등이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11-3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