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월급 4분의 1로 재테크…1위는 예·적금”

“직장인, 월급 4분의 1로 재테크…1위는 예·적금”

김태이 기자
입력 2017-11-30 09:24
수정 2017-11-30 09: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육전문기업 휴넷 조사

직장인 10명 가운데 9명 정도는 현재 재테크를 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월급의 4분의 1 정도를 재테크에 투자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평생교육 전문기업 휴넷은 지난 20∼23일 직장인 78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91.5%가 ‘현재 재테크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재테크 수단(복수응답) 1위는 ‘예·적금’이 6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식·채권·펀드’(48.5%), ‘보험·연금’(33.3%), ‘부동산·경매’(24.8%) 순으로 나타났다. ‘금·외화’와 ‘P2P(개인과 개인 간) 금융·가상화폐’도 각각 2%가량 있었다.

월급 대비 재테크 투자 비중은 평균 25.5%로 집계됐다.

월급의 15∼30%를 재테크에 투자한다는 대답이 36.4%로 가장 많았고, ‘0∼15% 미만’(34.4%), ‘30∼45% 미만’(13.1%), ‘45∼60% 미만’(10.1%) 순이었다.

재테크 투자 비중은 결혼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미혼 직장인은 평균 38%를 재테크에 투자하는 반면 기혼 직장인은 23.3%에 그쳐 양육비 부담 등에서 자유로운 미혼이 기혼보다 더 재테크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 대비 이상적인 재테크 비중은 평균 34.3%로 조사됐다. 이는 실제 월급 대비 재테크 투자 비중보다 8.8%포인트 높은 것이어서 현실과 이상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휴넷은 설명했다.

재테크 목적(복수응답)은 미혼의 경우 ‘목돈 보유’, ‘결혼자금’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고 기혼은 ‘노후자금’, ‘자녀 양육비·학자금’이 많았다.

재테크 정보를 얻는 수단(복수응답)은 ‘은행·금융기관’이 1위를 차지했고 ‘커뮤니티·카페 등 인터넷’, ‘신문·방송 등 언론’, ‘직장동료 또는 친구’, ‘재테크 관련 도서’ 순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