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돌아다니는 해외 리콜 장난감…당국 ‘판매차단’ 조치

우리나라에 돌아다니는 해외 리콜 장난감…당국 ‘판매차단’ 조치

나상현 기자
입력 2020-02-21 17:49
업데이트 2020-02-21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전상 이유로 해외에서 리콜된 장난감이나 식료품 일부가 국내로 들어와 유통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판매차단 등 조치를 취했다.

21일 소비자원이 지난해 한 해 동안 유럽·캐나다·미국 등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 137개 제품이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국내 정식 수입·유통업자가 확인되지 않은 135개 제품에 대해선 판매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판매를 차단했다. 업자가 확인된 2개 제품에 대해선 부품 교환이나 고장시 무상수리를 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주요 품목별 리콜사유. 한국소비자원 제공.
주요 품목별 리콜사유. 한국소비자원 제공.
137개 제품 가운데 54개(39.4%)는 장난감이나 아기띠 등 아동·유아용품으로 나타났다. 이어 음식료품(36개·36.3%), 가전·전자·통신기기(14개·10.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유아용품 가운데 20개는 유해물질 함유, 17개는 작은 부품 삼킴 우려로 인한 리콜이었다. 음식료품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 미표시나 세균 검출 등 사유로 리콜됐다. 제조국 정보가 확인되는 72개 제품 가운데 중국산이 35개(48.6%)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이 22개(30.6%)였다.

소비자원은 판매차단 조치를 취했더라도 글로벌 온라인 유통사 등을 통해 다시 국내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기존에 판매차단한 제품에 대해 3개월 이후 재유통 여부를 확인하는 등 해외리콜 제품을 감시할 예정이다.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